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산뜻한들소119
산뜻한들소11923.04.20

자기중심적인 아이 어떻게 고쳐줘야 하나요?

제아이가 12살 여자아이인데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유심히 지켜봤습니다. 친구들에게 먼저 말을 걸지않아 단순히 내성적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얘기를 들어보니 자기한테 말을 안 거는 친구들이 밉다고 합니다. 또 자신이 원하는 놀이 할때 외에는 항상 친구들이 자기만 놔두고 다른 놀이를 한다고 불평하고 또 혼자있는 모습 보이는 것이 자존심 상해 전화하는 척, 책 읽는 척을 합니다.

아무리 제 딸이지만 딸 친구들한테 미안할 정도로 다른 사람 생각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차라리 친구들한테 불만을 말하고 친구들한테 욕도 먹어 가면서 사회성을 키웠으면 하는데 친구들 앞에서는 아무렇지 않은 척하고 나중에 집에와서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네요.

저학년때 이쁘장하다는 이유로 반 친구들한테 인기가 좀 있었는데 그때 나쁜 버릇이 든 건지, 혼자 남겨지는 상황이 되면 어떻게든 맞춰가면서 어울릴 생각을 안하고 그 상황을 피하고 겁을 냅니다.

좋게 얘기해줘도 그때만 듣고 실제로는 전혀 바뀌지가 않습니다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막막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을 키워서 사회인으로 성장 시키는게 참 어려운

    일인듯 합니다.

    내성적인 성격을 갑자기 바꾸기는 힘들지만 활발한성격의 친구를 사귀게 되면 성격이 서서히 변화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친구관계를 포함한 어떤 인간관계든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친구들과 같이 놀고 싶다면 그만큼 아이도 친구들에게 다가가고 친구가 원하는 놀이도 해주는 등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

    12세라면 충분히 엄마의 이런 충고를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는 나이이니 진심을 다해 충고해주시고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 당장 실천에 옮기지 못하더라도 본인도 직접 경험하고 느끼는 순간이 올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존심이 강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친구에게 조금만 가까이 다가가도 금방 친구들과 친해질 수 있는 타입인데 안타깝네요.

    아이와 친구와 관련된 감동 영화를 함께 보거나, 친구의 의미에 대해서 자주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기 중심적 아이 지도방법으로는

    1. 갈등 문제의 원인과 핵심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아이가 친구들과 갈등 상황에서 자기중심적 행동을 하는 이유는 아는 것이 먼저 입니다. 아이의 자기중심적 모습을 걱정하기에 앞서 공통적으로 문제가 일어나는 행동 목록을 작성하고 최근 자녀의 이기적인 행동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세요.

    2. 허용 불가한 규칙을 정확하게 정해서 실천하도록 해주세요.

    자녀의 행동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자녀에게 앞으로 해당 행동이 용납되지않을 것이라고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아이가 모든 변덕에 익숙해지면 힘들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의 일관되고 단호한 지도가 필요로 합니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서 아이에게 이기심이 왜 잘못된 것인지 꼭 알려주고, 그 행동의 결과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공감을 가르쳐 주세요.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고 누군가의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아이들은 관대하고 이기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의 감정을 예로 들며 자녀에게 공감을 가르쳐 주도록 하세요.

    역할극을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특정 상황에서 어떤 마음이지 상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역할극을 아이가 공감능력을 쌓는데 효과적 입니다.

    4. 이타심을 칭찬해 주세요.

    이기심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반대로 이타심을 칭찬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사심없는 행동을 할 때 즉, 아이가 비이기적이거나 관대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보면 마음껏 아이를 칭찬해 주도록 하세요.

    5. 제한을 설정해 주세요.

    아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모두 얻는다면 이기적이 되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한계를 정하고 그 한계를 지켜서 자신을 통제하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6. 롤모델이 되어주세요.

    아이들에게 본보기를 보여주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아이의 거울은 부모 입니다. 자녀 앞에서 다른 사람에게 너그러운 행동을 함으로써 이기적인 않은 방법을 보여주시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0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상대방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을 해볼 수 있도록 알려주고 상황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감정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공감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이러한 감정을 느낄수도 있기에

    우선적으로 이러한 감정을 공감해주는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그 이후에 아이들과 함께 있으면서 대처할만한 방안들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하고 감정을 표현하는것을 연습해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