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

공시지가가 최신화 되지 않는 곳은 가격동결이라고 보면되나요?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서 공시지가를 알아보고 있는데 10년전이 가장 최신화된 가격이고 그뒤로는 기록이 없는데 이런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가격으로 공시지가가 동결되었다고 보는게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시지가는 매년 6월 1일에 갱신됩니다. 따라서 10년 전이 가장 최신화된 가격이고 그 이후로 기록이 없다면, 해당 지역의 공시지가는 10년 전의 가격으로 동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최근의 가격으로 공시지가가 갱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공시지가가 최신화되지 않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며, 지역 특성, 정책 변화, 부동산 시장의 특수성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 공시가격중 개별주택가격이나 공동주택가격은 근린 등 주택의 용도가 아니라면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점을 먼저 확인하시고 해당 사유가 아니라면 시군구에 유선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공시가격은 매년 발표되기 때문에 같은 가격이라도 년도별 금액이 표시됩니다


  •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서 공시지가를 알아보고 있는데 10년전이 가장 최신화된 가격이고 그뒤로는 기록이 없는데 이런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가격으로 공시지가가 동결되었다고 보는게 맞을까요?

    ==> 네 그렇습니다. 공시가격에 변동이 없다면 공시지가가 동결되었다고 봐야 합니다.

  • 공시지가의 기록이 없다면 동결됐다고 봐야 합니다

    공시지가는 부동산면적,금액,주소,주변환경을 자료화 하거나 실거래된내용을 바탕으로 그해 1월1일을 기준으로 발표하는 금액입니다

    그런데 10년동안 변화가 없었다면 거래내역이 없었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