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윰난나
윰난나

부모가 서로 말이 없을 경우 아이 말이 느리나요?

부모 둘다 말주변이 별로 없고

집에 둘이 있을때도 별다른 대화가 오가지 않는다면

같이 있는 아이도 문장에 덜 노출되어 말이 느리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언어가 발달하려면 언어자극이 있으면 좋습니다. 부부가 별 대화가 없더라도 아이에게 말을 많이 해 주세요. 그리고 부모님이 말을 많이 해 주는 것이 어렵다면 동화책을 많이 읽어 주시면 좋습니다. 동화책속 이야기에 대해 질문하며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아이의 언어발달은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문화 아이들의 언어가 지연되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아이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평소에 동요를 자주 들려주고 대화를 꾸준히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에게 책을 지속적으로 읽어주는 것도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가 말이 많고 대화가 많은 가정의 아이들은 부모와 비슷하게 말도 많고 억양이나 말의 패턴도 비슷합니다.

    육아시에는 말을 많이 해주는게 말문이 빨리 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급한대로, 말 노출이 없으면, 아무래도 아이가 보고 듣는게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말이 느릴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글의 내용대로 가족간에 서로 말이 없다면 아무래도 아이의 말도 느리게 틔일 것입니다

    아이와 자주 놀면서 상호작용을 자주 시켜 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가 말 주변이 없으시더라도 아이의 언어자극에 도움을 주셔야 합니다.

    아이에게 아무런 말을 해주지 않고 대화를 하지 않는다 라고 한다면 아이의 언어는 지연이 되거나, 말을 하지 못하는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언어자극 방법으로는 책을 많이 읽어주시는 것과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아이에게 질문도 해주시면서 아이가 답변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적 자극은 지속되고 다양한 어휘를 사용할수록 좋습니다

    대화가 많지 않다면 보고 배우거나 하는 것들이 적어서 언어발달이 늦거나 늦지 않더라도 다양한 어휘사용은 힘들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당연히늦습니다

    들은게없으니 아이는언어를 모르고

    그러니 자연히 말이늘수는없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