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두더지는 알을 낳는다는데 왜 포유류로 분류되는 것인가요?
기본적으로 포유류는 새끼를 낳는 동물들을 지칭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시두더지 같은 동물은
새끼를 낳지 않고 알을 낳는 동물인데
포유류로 분류가 되더라구요
가시두더지는 왜 알을 낳지만 포유류로 분류를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어떤 동물을 포유류로 정의하는 요소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젖샘 (mammary gland)이 있는가, 털(hair/fur)이 있는가, 온혈 동물인가, 인데요.
가시두더지는 위 세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포유류에 속하게 됩니다.
다만 원시 포유류에 속하는 단공류에 속하는 동물이 되는 것이죠.
진화학적으로는 약 1억 6천만년 전에 다른 포유류 (유대류-캥거루 등, 태반류-개, 사람 등)과 갈라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궁금증이 해결 되셨기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는 알을낳지만 포유류로 분류되는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이유는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능력때문입니다.
포유류의 핵심 정의는 젖샘으로 새끼에게 영양을 공급하는동물인데, 가시두더지도 알에서 부화한 새끼를 젖으로 기르기때문에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즉, 출산방식보다는 젖을통한 육아가 더 본질적인 특징이라고 볼 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포유류는 말 그대로 젖먹이동물을 뜻하는데, 새끼가 어미의젖을 먹고 영아기를 지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외에도 체온이 일정한 항온동물이면서 털이 몸 전체를 덮고있는 형태가 포유류에 가깝습니다.
1명 평가가시두더지는 알을 낳지만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젖샘이 있고, 몸에 털이 나 있으며, 단일 뼈로 이루어진 아래턱과 같은 포유류의 고유한 특징들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포유류를 정의하는 핵심 기준은 새끼를 낳는지 여부가 아니라, 젖 분비, 털, 그리고 특정 골격 구조와 같은 생물학적 특성의 유무입니다. 가시두더지는 현존하는 단 두 종의 단공류 중 하나로, 포유류의 진화 초기 형태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어 알을 낳는 특성이 남아있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네 말씀하신 것처럼, 일반적으로 포유류는 새끼를 낳고 젖을 먹여 기르는 동물로 알려져 있는데요 예외가 있는데 단공류에 속하는 동물들로, 대표적으로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가 있습니다. 이들은 알을 낳지만 분명히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우선 포유류는 단순히 ‘새끼를 낳느냐, 알을 낳느냐’가 아니라 해부학적·생리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하는데요 가시두더지는 젖샘을 가지고 있으며 새끼에게 젖을 먹입니다. 다만,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는 젖꼭지가 없고, 젖샘에서 분비된 젖이 피부를 통해 스며나와 새끼가 핥아 먹는 형태입니다. 또한 체온이 일정한 온혈동물이며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내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게다가 털이 있으며, 이를 통해 체온을 유지합니다.
가시두더지가 알을 낳는 것은 진화적 흔적으로 볼 수 있는데요 가시두더지는 ‘포유류의 특징을 모두 지닌 알 낳는 포유류’입니다. 즉, 번식 방식만 다를 뿐, 그 외의 생리적·해부학적 특성들은 모두 포유류에 부합하기 때문에 포유류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포유류를 분류하는 기준은 새끼를 낳는지 보다는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능력, 즉 젖샘의 유무와 그 외의 해부학적 특징에 있기 때문입니다.
가시두더지와 오리너구리는 현존하는 포유류 중 가장 원시적인 그룹인 단공류에 속합니다.
이런 단공류는 태반 포유류나 유대류와 달리 알을 낳는 난생 특징을 가집니다. 하지만 새끼가 부화하면 어미의 젖샘에서 분비되는 젖을 핥아 먹습니다. 또한, 몸이 털로 덮여 있는 온혈 동물이며, 포유류 특유의 귓속뼈 구조를 가지는 등 다른 주요 포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죠.
분명 알을 낳는 것은 파충류와 같은 동물과의 공통점이지만, 수유 능력은 포유류를 결정하는 핵심 형질이므로 가시두더지는 포유류로 분류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