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냉정한제비3
냉정한제비323.09.06

퇴사관련 질문:)사직서 9월 27일까지 근무 후 퇴사

월급제 이벌달에 퇴사 예정입니다.

추석연휴가 껴있어서 실근무는 그전날까지인데 이러면 3일 일급을 빼고 퇴사 달 급여를 받는 걸까요?

저는 이번달까지 근무하겠다고 의사를 밝혔는데 회사측에서는 사직서에 27일까지 근무한다고 표기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사직일은 질문자님이 지정하여 제출하는 것입니다. 회사에서 임의로 27일로 처리하여 사직처리를 할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9월 27일까지 근무 후 퇴사시 퇴사일은 9월 28일이고 3일치 급여를 빼고 받습니다. 어차피 연휴이기 때문에 퇴사일은 10월 1일로 해도 되고 10월 4일로 해도 됩니다. 그 경우 임금을 더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9월 27일이 마지막 근무일이라면 9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의 임금에 공제될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희망퇴직일보다 앞당겨 사직에 합의할 수 있으나, 근로자가 이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일방적으로 고용관계를 종료시킬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퇴사일은 노사 당사자간의 합의로 결정할 사항이므로, 사용자가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일방적으로 퇴사일을 27일로 정하여 근로계약을 해지하는 것은 해고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실제 합의된 마지막 근로일의 다음 날이 귀 근로자의 퇴사일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퇴사일이 몇일로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공휴일 기간의 임금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결정됩니다. 또한 퇴사일을 회사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