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매일투명한카피바라
매일투명한카피바라

올해 쌀값 폭등의 원인과 내년 쌀값 전앙에 대해 알고 싶어요

그 동안 안정적이었던 쌀값이 올해 계속

오름세를 유지하는중인데

도대체 원인이 뭘까요

그리고 농산물 가격에 대한 예단은 어렵겠습니다만 내년에는 어떤 흐름을 보일지 궁금하네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올해 쌀값 폭등의 원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쌀값이 오르는 것은 결국

    수요가 공급보다 많기 때문에

    쌀값이 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집중호우나 벼멸구 등으로 인해서 일부 논에서 도정수율 및 수확량이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정부가 지난 수확기에 생산량 과잉을 우려해서 대량의 쌀을 매입해서 오히려 시장에 유통되는 쌀이 부족해진 상황도 영향이 있습니다. 한편 최근 유통, 물류, 포장 비용이 증가한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쌀값상승은 이상기온, 생산량감소, 비축미 축소 등이 원인입니다.

    내년은 정부 비축 확대 및 수입조절로 안정세 회복이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쌀 가격 급등의 주된 원인으로는 이상기후로 인한 수확량 감소, 정부의 시장격리 정책 및 쌀 유통 경쟁 심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에는 농산물 가격과 글로벌 경제 상황, 기후변화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시적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면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쌀값이 유독 올해에 상승한 것에는 우리나라의 기후 변화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쌀 수요가 적어 공급보다 수요가 부족했습니다

    • 또한 물가가 크게 상승한 원인으로 화폐가 시장에 더 많이 풀리게 되면서 전체적인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많이 올랐습니다.

    2024년 말 대비 2025년 10월 현재 쌀값은 약 15~17% 상승했으며, 20kg 기준 평균 가격이 6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런 폭등 원인은 이상기후로 인한 생산량 감소, 농자재·국제 곡물가 상승, 정부 수급 정책의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2026년 전망으론 정부의 비축 확대와 할인 정책으로 단기 안정 가능성이 있지만, 기후 변수와 국제 시장에 따라 변동성은 여전히 클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쌀값 폭등의 주요 원인은 2024년 발생한 이상기후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여 시장 공급이 부족해진 데 있습니다. 여기에 쌀값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정부가 예년보다 많은 물량을 과도하게 시장에서 격리하여 민간 재고가 부족해진 것이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또한, 비료나 농약 같은 농자재와 농가 경영비가 상승하면서 생산 원가가 높아진 점도 가격에 반영되었습니다. 쌀 소비량은 밥쌀용은 줄어들고 있으나 즉석밥, 가공식품 등 가공용 수요가 크게 늘어 수급 불안정 요인이 되었습니다. 내년 쌀값은 2025년 햅쌀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확기 이후부터는 점진적으로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국제 곡물가와 이상기후 등 예측 불가능한 요인에 따라 가격이 다시 반등할 수 있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쌀값 폭등은 쌀 재고가 충분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부의 시장 개입이 주요 원인입니다. 정부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비축미 약 36만 톤과 추가로 26.2만 톤을 시장에서 격리하면서, 민간 시장의 쌀 재고가 줄어들어 가격이 급등한 상황이죠.

    내년 쌀값 전망은 올해 보다는 개선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