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변물건을 던지거나 주변 사람을 때리는행동을해요

기분이 좋거나 신이나면 주체를못하여 주변물건을 던지거나 주변 사람을 때리는행동을해요..
기분나쁘거나 훈육후엔 더 과격한행동을하는거같아요..
예를들어 티비에서 공룡끼리 싸우는장면이 나오거나
자기가 마음에드는 장면이 나올경우 티비를장난감으로치거나 옆에있는사람 갑자기때려요..(매번그런건아님)
처음엔 관심받고싶어서하는행동이거나 말이느려 표현하는법을몰라서 그런거라생각하고 타일러도보고 훈육도해봤지만 때리는행동이 더 심해지는거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신애 유치원 교사
    송신애 유치원 교사
    누리유치원

    아이가 감정이입이 돼서 그 캐릭터와 싸우는 행동으로 그럴 수도 있고,

    관심을 받기 위해 그럴 수도 있습니다.

    우선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우리 ㅇㅇ가 공룡과 같이 싸움놀이를 하고 싶은가보구나!' 이렇게 말을 한 후 위험한 행동이니 하지 않도록 이야기해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질 때의 대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가 단순한 놀이로 물건을 집어 던질 때에는 그 행동에 반응을 해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적인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아이는 그것에 흥미를 보이며 반복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누군가를 공격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물건을 던지는 경우에는

    즉시 아이를 다른 장소로 데려가 단호하게 방금 했던 행동이 매우 위험했고 하면 안된다는 것을 말해주어야 합니다. 훈육을 할 때는 화를 내기보다는 단호하고 엄하게 말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주변 물건을 던지거나 주변 사람을 때리는 행동을 하는 것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거나 사람을 때리는 등의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때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아이가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때는 단호하게 말려야 합니다. 아이의 팔을 잡거나 눈을 바라보며 강하게 제지해야 합니다.

    아이가 폭력적인 행동을 한 이유를 파악하고, 그에 맞게 훈육해야 합니다. 이때 화를 내지 않고 차분한 목소리로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폭력적인 행동을 보인 후에는 안정감을 주어야 합니다. 안아 주거나 쓰다듬어 주며 안심시켜 주세요. 에너지 발산을 위해 아이와 함께 놀이 혹은 운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의 태도 역시 중요합니다. 아이의 행동을 비난하거나 혼내는 것보다는 공감하고 이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에너지가 넘치고 흥이 넘치는 아이 이지만 이러한 자기 감정을 어떻게 주체를 하고 발산을 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기분이 좋으면 옆에 있는 사람을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는 것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고, 사람을 때린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 시키고 아이를 앉힌 후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기분이 좋다고 사람을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준 후, 왜 사람을 때리고 물건을 던지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아이들의 경우에는 점점 더 자아를 형성합니다. 그렇게 자아를 형성하게 되면 원하는것은ㄴ얻기위해서 과격해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드러눕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때리거나 깨물거나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경우에는 부모님이 훈육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훈육을 잘해주셔야 아이가 폭력적이지 않게 자라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중간한 훈육은 아이를 더욱 더 폭력적으로 바꾸기 때문에확실하게 훈육을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주변 물건을 던지거나 사람을 때리는 행동은 보통 주의를 끌거나 감정을 표현하려는 시도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차분하게 아기의 행동을 멈추게 하고, 그 행동이 좋지 않다는 것을 명확히 설명해 주세요.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아기에게 감정을 표현하는 다른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 일정한 규칙과 일관된 반응을 통해 아기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공룡이 나오는 영상에 노출되는 게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어른들이 보기에는 그다지 자극적이거나 폭력적이지 않아 보여도 아이들 입장에서는 엄청나게 자극을 주는 영상들이 간혹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아이들의 무의식적으로 폭력적인 성향을 일으키도록 자극을 주는데요. 되도록 영상 매체에 대해 노출시키는 걸 막아 주셔야 아이들의 폭력적 성향이 강화되는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문제행동을 하면 그 즉시 제지하시고 단호한 어투로 해서는 안 된다고 말을 해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