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풍족한직박구리212
풍족한직박구리212

빙하가 다 녹으면 무슨일이 일어날까요?

빙하가 계속 녹아서 사라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계속해서 녹는일만 있는건가요? 겨울이 많이 춥고 눈도 내리는데 빙하가 있는 지역에는 눈이 안내리나요? 얼마나 눈이 오고 추워야 빙하가 원래의 모습을 갖게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지구 전체의 온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큰 틀에서 본다면 수만년전부터 녹아있던 빙하들이 점점 녹아지고, 새롭게 얼 가능성은 적겠습니다. 빙하가 높아지면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기는 지역이 늘어나겠고, 북극의 빙하등에 살고 있는 생태계에도 큰 혼란이 오겠습니다.

    그 외에 간접적으로 수많은 변화가 생길텐데 그 부분은 미리 예측하기 어려울 거 같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그 물은 바다로 흘러들어 해수면을 상승시킵니다. 특히,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의 거대한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 상승은 매우 빠르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저지대 해안 지역에서는 홍수가 빈번해지거나, 일부 지역은 아예 바다에 잠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나 태평양의 섬 국가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빙하는 태양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빙하가 녹으면 지구 표면에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는 햇빛이 많아지기 때문에 지구가 더 빠르게 따뜻해지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이를 '빙하 반사 효과' 또는 '알베도 효과'라고 부릅니다. 빙하가 줄어들수록 더 많은 열이 지구에 남아 기후 변화가 가속화됩니다. 빙하가 녹으면 북극과 남극의 차가운 담수가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류와 바닷물의 순환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이 변화는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어류의 서식지와 같은 중요한 요소들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빙하가 있는 지역에도 겨울에는 여전히 눈이 내리지만, 빙하가 녹는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빙하가 형성되거나 유지되려면 매년 내리는 눈이 녹는 양보다 많아야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겨울철에 내리는 눈도 빨리 녹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빙하가 완전히 녹지 않고 남아 있으려면, 훨씬 더 차가운 기후와 더 많은 눈이 필요합니다. 빙하가 원래의 모습을 회복하려면 지금보다 훨씬 더 차가운 기온과 많은 양의 눈이 필요합니다. 현재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이런 조건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기후가 장기간에 걸쳐 냉각되지 않으면 빙하가 원래대로 복원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