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퇴직금 정산 방법이 바뀐다는 말이 있던데?

퇴직금은 퇴직 적전 3개월 급여 합계를 3으로 나눈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향후 매년 연봉액을 12로 나눈 후 이를 정산해 퇴직급여통장에 입금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대진 노무사
      박대진 노무사
      노동법률사무소 그날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연봉액을 12로 나눈 후 이를 정산해 퇴직급여통장에 입금하는 방식은 퇴직금 제도 중 DC형 퇴직연금 방식입니다. 퇴직금 제도 전체가 DC형 퇴직연금으로 바뀌는 구체적 계획은 현재로선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퇴직일시금은 "평균임금*30일*재직일수/365일"로 산정하며, 퇴직연금(DC형)은 연간 임금총액의 12분의 1 이상의 부담금을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가입자의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 계정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해야할 사유가 발생한 날(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퇴직 적전 3개월 급여 합계를 3으로 나눈 것이 아닙니다.

      퇴직연금 DC형은 연간 임금 총액의 1/12를 납입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정확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도입하지 않은 경우라면 근로자 퇴사시 최종 3개월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지만 DC형 퇴직연금을 도입한 경우에는 최종 3개월간 평균임금이 아닌 적어주신대로 매년 임금총액의

      1/12을 퇴직연금 부담금으로 적립해주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에 따르면 사업장에서 기존 퇴직금 제도에서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DC형)로 변동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향후 매년 연봉액을 12로 나눈 후 이를 정산해 퇴직급여통장에 입금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 퇴직연금(DC형)의 불입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노무법인 새로 대표 공인노무사 최정희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소속 회사에서 퇴직급여제도를 변경하려는 것으로 보이며, 퇴직급여는 퇴직금 제도, 퇴직연금제도 종류별로 산정방식이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