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지금처럼의희망
지금처럼의희망

척추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때와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약간의 신경장애를 남긴때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62
기저질환
고혈압
복용중인 약

장애판정기준에 의한 장애 분류표에 척추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때와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약간의 신경장애를 남긴때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의 약간의 기형은 엑스레이 등 영상에서 모양 변화가 있으나 기능 제한이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반면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약간의 신경 장애는 디스크 병변으로 감각 저하 약간의 근력 약화 등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에 기형을 남긴다는 것은 구조적(뼈대 계통)인 기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척추의 구조가 외형적으로 변형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신경장애는 방사통이나 감각이상과 같은 신경의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척추의 기형과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신경장애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이 두 가지 상태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척추에 영향을 미칩니다.

    척추에 약간의 기형이 남는다는 것은 척추뼈가 정상적인 배열이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변화가 생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선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질병으로 인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기형은 척추의 배치를 바꾸거나 비정상적인 곡선을 만들어 몸의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추간판탈출증은 척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돌출하여 주변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입니다.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해 약간의 신경장애가 발생한다는 것은 디스크 탈출이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통증이나 저림, 근력 저하 등의 신경 증상이 유발되는 경우를 뜻합니다. 이때의 신경장애는 디스크의 위치와 탈출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척추 기형과 추간판탈출증은 모두 척추에 문제를 일으키지만, 기형이 구조적인 변화를 더 의미한다면 추간판탈출증은 신경에 대한 압박 및 그로 인한 증상이 더 두드러지는 차이가 있습니다. 장애 판정에 있어서도 이러한 차이점이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상태가 임상적으로 얼마나 심각한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다르게 분류되고 판단될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에 약간의 기형이 남는 경우는 척추뼈 자체가 선천적이거나 외상 후 비정상적인 모양으로 남은 상태를 의미하며 뼈의 구조적 변형이 있어서 척추의 곡선이나 정렬이 정상과 다르거나 기형 자체가 신경을 직접 누르지 않으면 신경 증상은 없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만성적인 허리 통증이나 근육 긴장 자세 불균형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신경 장애 같은 경우 척추 뼈 사이의 디스크가 탈출 또는 팽윤하여 신경근을 눌러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상태로 디스크가 신경근을 압박하여 통증 및 저림 감각의 이상 근력 저하 등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