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모으기 위해서 버려야 하는 습관이 뭘까요?
돈을 모으는 것이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어떤 부적절한 습관을 버려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살면서 일을 하고 쉬지요 그런데 가만 보면 말입니다 그냥 쉬면 되는데 그냥 쉬면 안 되고 뭔가 어디를 가야 하고 돈을 써야 하고 뭘 봐야 하고 그런 것들이 있습니다 가만 보면 그냥 쉬는 거죠 좋을 때가 있거든요 돈 쓰는 취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불필요한 지출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계부를 작성해서 본인이 하루에 어떠한 불필요한 소비를 했는지 정확히 파악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하루하루를 되돌아 보며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돈을 모으시기 위해서 버려야 하는 습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소비 습관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필요한 것을 사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것을 사는 소비 습관에서 탈피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우선 절약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우선입니다. 한정된 수입을 꾸준히 저축을 해서 투자금을 만들수 있도록 꼭필요한 곳에 소비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누구나 다 아는게 돈을 모으기 위해선 꼭 필요한데 돈을 쓰고 나머지는 저축을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단지 그게 어려운거죠 그래서 기본적으로 금수저 아닌 직딩이라면 고정지출 비용을 확정해야합니다
소득에서 고정지출비용을 뺀 나머지 가용현금 중에서 얼마를 매달 저축하고 나머지를 쓰냐의 차이라고 생각해요
보통은 50프로 이상 저축하는게 좋고 주변에 많이 하는 분들은 70-80프로까지 합니다
저축하고 남은 돈만 으로 한달을 계속 살아가다보면 돈은 자연스럽게 모으고 부적절한 습관도 없어질거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지출을 하고
가계부 등을 작성하시면 도움이 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라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돈을 모으는 게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라는 생각, 정말 공감이 가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자산을 쌓는 과정은 꾸준함과 인내가 필요한 여정이에요. 돈을 모으려면 수입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출 습관을 점검하고 부적절한 부분을 고치는 게 더 큰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제가 부적절한 습관 몇 가지를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일상에서 흔히 보이는 사례를 들어 설명할게요.
첫째, 계획 없는 소비입니다. 충동적으로 물건을 사거나, 세일이라는 이유로 필요 없는 물건을 구매하는 습관이 대표적이죠. 예를 들어, "이거 지금 안 사면 손해야!"라는 생각에 5만 원짜리 옷을 샀는데, 막상 한 번 입고 옷장에 쌓아두는 경우가 많아요. 이런 소비는 당장은 만족스럽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돈이 새는 구멍이 됩니다. 버리려면 소비 전에 "정말 필요한가? 한 달 뒤에도 후회 없을까?"를 잠깐 고민해보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둘째, 작은 지출을 무시하는 태도입니다. 커피 한 잔 4,500원, 배달 음식 2만 원, 이런 소소한 지출이 쌓이면 월말에 통장을 보면 깜짝 놀라게 되죠. 예를 들어, 하루 5,000원씩 쓰면 한 달에 15만 원, 1년에 180만 원이 그냥 사라져요. 작은 돈이라도 기록하고, 꼭 필요한지 따져보는 습관을 버리지 않으면 돈 모으기가 어렵습니다.
셋째, 저축을 나중으로 미루는 습관입니다. "이번 달은 좀 쪼들리니까 다음 달부터 저축해야지"라는 생각, 익숙하시죠? 하지만 다음 달에도 비슷한 핑계가 생기기 마련이에요.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먼저 저축액을 떼어놓지 않으면, 소비 후 남는 돈으로 저축하려다 보니 늘 부족해집니다. ‘선저축 후소비’라는 원칙을 지키는 게 중요합니다.
넷째, 신용카드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습관입니다. 카드로 결제하면 현금을 쓰는 느낌이 덜해서 과소비로 이어질 수 있어요. 특히 할부나 리볼빙(일부 결제 후 나머지 이월)을 자주 이용하면 이자 부담이 커져서 돈이 모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12개월 할부로 사면 이자가 10% 붙으면 10만 원 넘게 더 내야 해요. 카드는 현금처럼 쓰되, 한도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필요합니다.
다섯째, 투자나 재테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나 무지입니다. 돈을 모으려면 저축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요. 은행 이자가 연 3% 수준이라면, 물가 상승률(최근 2~3%)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자산이 늘지 않죠. 주식, 펀드, ETF 같은 투자에 관심을 갖지 않고 "위험하다"는 생각만으로 피하면, 돈이 돈을 버는 기회를 놓칩니다. 무작정 뛰어들라는 게 아니라, 조금씩 공부하고 소액으로 시작해보는 습관을 버리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자신을 너무 몰아세우는 습관입니다. 돈을 모으겠다고 모든 소비를 죄악시하면 스트레스만 쌓여서 오히려 더 큰 지출로 이어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한 달 내내 참다가 "나도 좀 즐겨야지" 하며 여행에 200만 원을 쓰는 경우죠. 적당히 보상해주면서 절제하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돈을 모으려면 충동 소비, 작은 지출 방치, 저축 미루기, 카드 과용, 투자 회피, 그리고 극단적인 절약 같은 습관을 버리는 게 핵심입니다. 대신, 소비 계획을 세우고, 지출을 기록하며, 월급의 10~20%라도 먼저 저축하고, 재테크를 조금씩 배워가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처음엔 어색해도, 한두 달 실천하면 점점 편해질 겁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돈을 모으기 위해 버려야 하는 습관으로는 불필요한 대출 금지, 통신요금 줄이기, 충동구매, 과잉소비, 스트레스 해소 소비를 버리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