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mri촬영시 인공와우 때문에 뇌졸중 질병을 발견 못 할 수도 있나요?
뇌졸중이 의심되어 병원에 입원을 요청했습니다. mri검사 소견상 뇌졸중 증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서 치료시기가 늦어졌습니다. 인공와우 때문에 mri 검사에서 증상 발견이 어려웠다고 하는데, 그럴 수가 있나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인공와우는 MRI 촬영 시 인공와우 자체의 안전 문제와 MRI 영상의 화질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인공와우의 금속 성분으로 인해 MRI 영상에 인공물이 생겨 뇌졸중 진단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숙련된 의료진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MRI 촬영 기법을 조절하거나 다른 영상 검사를 병행하여 뇌졸중 진단을 시도합니다.
뇌졸중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MRI 검사 결과가 명확하지 않다면, 다른 영상 검사(CT, 혈관 조영술 등)나 신경학적 검사를 추가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인공와우 이식 병원과 협력하여 MRI 촬영 프로토콜을 조정하거나, 인공와우 제거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 대해 담당 의사 선생님과 자세히 상의하여 최적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네 그럴 수 있습니다. 인공와우때문에 MRI 영상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뇌졸증이 의심이 된다면 병변에 대하여 많이 신경쓰고 관찰을 할텐데
인공와우 때문에 일정영역이 보이지 않았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진단을 하려고 해야지
MRI에서 인공와우 artifact 때문에 영상이 보이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무성의한 대처같습니다.
인공와우 artifact가 설사 없다고 하더라도 증상은 있는데 영상검사에서 이상이 없다면
다시 증상을 확인하고 환자분께 설명하고 다른 검사를 추가로 할텐데 artifact 때문에
영상이 방해를 받아서 확인을 하지 못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네요
일반적인 의사의 진료 attitude가 아닌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