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

전자제품이 쇼트되었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요?

전자제품이 쇼트나서 고장났다는 말을 왕왕 듣습니다.

이 때 쇼트났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가요?

상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답변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쇼트"란 전자제품에서 전류가 정상적인 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기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이 예상치 못한 경로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발생하면 전자제품은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쇼트"는 "short circuit"의 줄임말로, 전기 회로가 단락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단락(short circuit)이란 전류가 통상적으로 흐르는 경로 대신 저항이 낮은 또 다른 경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경로 변경은 회로 내의 다른 부분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쇼트가 발생하면, 보호장치가 작동하여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과도한 전류로 인해 회로 부품이 손상되어 전자제품이 고장나게 됩니다.

    따라서, 전자제품이 "쇼트"가 났다는 것은 전기회로에 문제가 생겨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된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기기에서 전류는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흐르게 됩니다 플러스와 마이너스는 저항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류가 일정 방향으로 흘러야 되는데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저항이 없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게 되면 전류가 순식간에 많이 흐르게 됨으로써 해당부위에 열이 올라가게 되고 기기가 망가지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제품이 쇼트되었다는 것은 전기 회로에서 전기가 비정상적으로 흐르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자제품 내부에서 전기가 올바르게 흐르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로 전자제품의 부품이나 회로가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쇼트는 전자제품의 고장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므로 전자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 제품의 전기 회로에서 두개의 반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촉해서 해당 반도체가 감당할 수 있는 전류, 전압, 전력량을 한계치를 넘어서 과전류가 흐르는 바람에 해당 반도체의 내부 소자가 타서 고장 났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전선이나 케이블 피복이 벗겨져서 두개의 전선이 접촉하거나 내부 부품이 손상되서 두개의 전도체가 접촉해서 과전류가 흐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제품이 쇼트나서 고장났다는 말은, 전자제품 내부의 두 전도체가 서로 접촉하여 과전류가 흐르게 된 것을 의미합니다. 쇼트가 발생하면 해당 부위의 전선이나 부품이 손상되어 전자제품이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쇼트란? 영어로는 short를 의미하며 단락은 '짧게 이어진 선'을 의미한다.

    선이 끊어진 것이 아니다! (선이 끊어진 것은 '단선')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전압 100V, 저항 99Ω, 전선 저항 1Ω인 회로가 있다고 하자

    만약 불이의 사고로 인해 앞쪽에 있는 선이 연결이 된다면???

    그렇게 된다면 앞에 있는 전선의 저항은 1Ω 이기 때문에

    전류는 앞에 있는 전선으로 흐르게 되는데 (참고로 전류는 저항이 낮은 쪽으로 흐른다.)

    이러한 현상을 우리는 쇼트(short) 났다고 한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제품의 회로가 접촉되면 안되는 두 도체가 설간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전류적으로 접촉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쇼트가 나면 의도치 않은 과전류가 흐르면서 많은 전기에너지를 발산하면서 발열을 일으키기 때문에 화재로 번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제품에서 "쇼트"란 전기회로의 단락을 의미합니다. 전기회로가 단락되면 전기가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전류 폭주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폭주는 전자부품에 과부하를 주어 손상을 일으키거나, 전기적 충격을 불러 일으켜 인체에 해를 끼칠 수도 있습니다.

    전자제품에서 쇼트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전기회로에서 부품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전기가 회로를 돌다가 갑자기 짧은 경로를 만나게 되는 것 등이 그 예입니다. 또한, 전기회로 내부에서 부품들이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서도 쇼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쇼트가 발생하면 전자제품은 작동하지 않거나,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화재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제품에서 쇼트가 발생하면 즉시 전원을 차단하고 전기기사나 정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자제품이 쇼트되었다는 것은 전기 회로 내에서 두 지점 간의 전기적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전선이 끊어지거나 피복이 벗겨져서 서로 붙는 경우, 또는 회로 내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쇼트가 발생하면 전류가 너무 많이 흐르게 되어 과열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쇼트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즉시 해결해야 하며, 원인을 파악해 적절한 수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쇼트로 의심되는 상황이 있다면, 제품을 사용 중지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제품들은 무수한 칩들로 구성되어 있어 고장날때 칩들이 붙는걸 쇼트라고 말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제품의 단락 또는 합선을 말하며 한국에서는 줄여서 쇼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회로 설계상 접촉되면 안되는 두 도체, 즉 서로간의 부하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전류적으로 접촉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쇼트가 나면 의도치않은 과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 막대한 전기 에너지가 발산하는 발열로 인해 화재가 일어날 수도 있는 현상이다.

    출처 : 나무위키 - 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