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호관세 부과 이후 한국산 제품의 미국 내 유통채널 전략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미국의 관세 인상이 이슈인데, 관세 부과 이후 한국 기업들이 미국 내의 유통 채널 전략을 어떻게 재편할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상호관세를 부과하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미국 내 유통채널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존 대형 유통망 중심 전략에서 벗어나, 가격 민감도가 낮은 프리미엄 시장이나 틈새시장으로 접근 범위를 바꾸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자체 브랜드몰이나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유통 비용을 절감하는 전략도 더욱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현지 유통업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거나, 물류 거점을 북미 지역으로 다변화하여 수입단가를 낮추려는 시도도 예상됩니다. 일부 기업은 관세 회피를 위해 미국 외 제3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활용하거나, 현지 생산 비중을 높여 직수입 대신 로컬 유통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큽니다. 이를 통해 미국 시장 내 입지를 유지하면서 관세 리스크를 분산하려는 전략이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상호관세는 모든 국가들에 대한 10%의 보편관세가 부과될 수 있는데, 이는 7월 8일 종료 예정이며, 앞으로는 국가별 차등 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현지 생산 기반 확대를 통한 관세 회피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세 부과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를 상쇄시키기 위해 미국 현지 유통업체나 ODM 등 협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