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식도염은 한번걸리면 평생 못고치나요?
역류성 식도염에 걸려서 약을 먹은적이 있습니다 몇일 먹고나니 괜찮아져서 또 생활했는데 2달쯤 뒤에 또 걸렸습니다 이거 불치병인가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란 위-식도 사이 괄약근이 약해져 위산이 위에서 식도로 역류하는 질환으로 주로 흉부 작열감, 명치 끝 통증, 만성 기침을 일으킬 수 있으며 후두염이 동반될경우 목 이물감 및 인후통을 호소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질환에 대한 프로톤펌프 저해제와 같은 약을 복용 후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 강력히 해당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또 역류성 식도염에는 일반적으로 카페인, 초콜릿, 음주, 흡연, 탄산수, 과식, 자기전 음식물 섭취 등을 지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천천히 씹고 삼키거나 여러번 자주 나누어서 식사를 하거나 복압이 증가하지 않게 느슨한 옷을 입거나 운동을 하는 것이 증상 조절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과 비만 역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금연 및 체중 조절을 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경우 식후에 최소한 몇 시간은 눕지 말라는 것은 명확하지 않지만 증상 억제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식사 후 2시간은 지난후 눕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생활습관, 식습관과 관련이 높으므로 약을 복용한다고해서 질환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최대한 생활습관 및 식습관을 교정하여서 치료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한 번 걸린다고 평생 고치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잘 관리가 되면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서 만성화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평생 지속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쉽게 치료가 되는 질환은 아닙니다. 약 6개월 이상 꾸준히 치료를 받아야하는 질환에 해당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만성질환으로 가는게 대부분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은 증상은 타오르는 듯한 가슴통증입니다. 이외에 소화불량, 목 이물감 등이 있습니다. 위험인자로는 음식 복용후 바로 눕는 습관, 과식, 흡연, 음주 등이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내과 방문하셔서 내시경 검사, 약물치료 함께 병행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식도염에 걸리면
식도쪽에 격통
가슴통증
출혈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은..
당뇨등의 전신질환이 있을때 나타날 수 있으며, 구토하는 습관이 있을시, 위산역류에 의해 식도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의 치료
식사후 바로 눕는 습관을 교정하셔야합니다.
금연을 하셔야합니다.
커피, 초콜릿, 오렌지주스 등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셔야합니다.
감염에 의한 식도염의 경우, 항생제를 복용하셔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시 치료와 더불어 생활습관도 중요합니다.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서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약물 치료를 지속할 필요가 있습니다. 치료는 가급적 전문의와 진료 이후에 중단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금연, 금주, 음식 조절 ( 기름기 많은 음식, 커피, 초콜릿, 오렌지 주스 등 신 주스는 가급적 피할것), 식습관 개선 ( 식후 바로 눕지 않기. 소량씩 자주 먹기. 과식 금지. 천천히 먹기), 수면 습관 개선 ( 침대의 머리 부분을 올리면 위산 역류가 다소 감소함) 을 하시면 증상 조절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체중 감량도 중요하며, 체중 감량을 위해 운동을 할 때 복압이 올라가는 운동은 가급적 피해주시기 바랍니다.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위산분비가 과다하거나 위점막 보호 기능 자체가 약하거나 나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이런 원인을 고치지 않으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은 과식, 불규칙한 식사습관, 야식, 위산이 과다 분비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며, 식사 후 바로 눕거나 복압이 증가 할 수 있는 엎드려 자는 동작 등에 의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만, 임신, 복수, 꼭 끼는 옷도 영향을 줍니다.
생활습관을 변화 시켜야 하는데 하부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음식이나 약물은 피해야 합니다. 담배, 고지방식이, 술, 라면, 커피, 초콜릿, 오렌쥬스, 박하, 토마토등이 영향을 줍니다.
약물 중에서는 항콜린제, 고혈압약등이 영향을 줍니다.
과식과 밤참은 피하고 과량의 물을 마시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식후 3시간 이내에는 누우면 안되고, 비만인 경우에는 체중을 감량해야 합니다.
몸에 꼭 조이는 옷은 피하고 헐렁하게 입습니다.
취침시 머리를 들고 상체를 높일 수 있는 리클라이닝 침대에서 자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