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지식사냥꾼
지식사냥꾼

물이나 음식은 계속 끓고있으면 안상하나요?

유튜브에 보면 45년동안 끓고있는 음식을 파는 곳이 있다고 해서, 음식이나 물 등이 계속 끓고 있으면 안상하는지 궁금합니다. 끓고 있는 음식에 계속 물과 음식을 추가로 더해서 무한으로 끓이는 것 같은데 미생물이나 병원균이 생기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인 식중독 균이나 기타 고온에서 사멸하는 균들은 지속적으로 끓인다면 생존하지 못하게 됩니다.

      하지만 미생물이나 이러한 세균들은 그 종류가 많고 환경에 맞춰서 변화하기 때문에

      무조건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나 음식이 계속 끓으면 노화와 부패가 더 빨리 일어날 수 있습니다. 끓이는 시간은 음식의 종류와 양,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와 상태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음식이 완전히 익을 때까지 끓인 후 중간 불로 낮추어 음식을 보온하면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온에서작용하는 미생물들은 거의 없고, 계속 새로운 음식물이 추가되었다가 나가므로 병원균이 생기기 전에 모두 순환되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식이나 물은 일정한 시간 이상 끓이면 섭취하기에 안전한 상태가 되지만, 오랜 시간 동안 끓이거나 계속해서 추가하면서 끓이는 경우, 미생물이나 병원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끓는 과정에서 음식이나 물의 온도가 75도 이상이 되어야 살균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를 충족하지 않으면 미생물이나 병원균이 번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이나 물을 오랫동안 끓이면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변성될 우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생물이나 병원균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 살균이 되게 됩니다.

      주변에서 볼수 있는 소독기 등이 모두 높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이유도 바로 그 것이지요.

      때문에 계속 끓여지고 있는 음식에서는 미생물이 번질 확률은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게 오랜시간 음식을 계속해서 끓이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미생물이나 병원균을 유입받을 수 있으며, 음식물의 성분이 점차 무너져 맛이 감소하고 영양가가 상실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이 너무 오래 끓이거나 계속해서 물을 추가하는 것은, 끓이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분해되어 독소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