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관세 중국처럼 대응한다면??
트럼프관세때문에 여러국가들이 매우 힘들어하고 있는데요. 중국처럼 우리힘으로 안되면 여러나라와 연합하여 강경화자세로 나가는 건 어떨지 생각하는데요. 외교적으로 너무 저자세로 끌려가는건 아닌지 앞으로 미래가 걱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관세가 국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처럼 여러 나라와 협력해 강경한 대응을 하는 것은 외교적으로 중요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반응은 글로벌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균형 잡힌 외교 전략이 필요합니다. 미래의 경제 환경에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외교가 중요할 것입니다.
우리나라처럼 소수의 대기업이 수출에 의존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경제제재당하면 베네수엘라행이죠
우리나라와 같이 시장 규모가 미국보다 작은 나라는 연합이 필수 적이므로 혼자 맞서면 관세 보복, 금융 제재 등을 감당하기 어렵습니다.또한 외교 갈등이 커질 때 국민이 뒷받침해줄 수 있어야 하므로 다자 규범을 지키도록 압박하는 데 연합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럼프 관세 정책에 중국처럼 대응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나마 중국이 G2 국가이기 때문에
미국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지
나머지 국가들을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과 미국은 내수시장으로 경기를 어느정도 유지할 수 있는 국가 입니다. 한국은 내수시장이 매우 작으며 해외 자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함부로 대응했다가는 경기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처럼 한국도 WTO에 제소하여 트럼프 관세의 부당성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 일본 등 비슷한 입장의 국가들과 연대하여 공동 대응하고, 다자간 압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WTO 제소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실제 효과를 보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에 맞서 한국도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양국 간의 무역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은 강력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바탕으로 한국에 더 큰 압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과 협력하여 미국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미국과의 관계 악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한국의 안보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 관계를 고려할 때, 중국처럼 강경한 보복 관세보다는 다자간 연대와 외교적 노력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누가 먼저 맞설지를 서로 눈치를 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나서는 국가는 관세든 다른 외교적인 부담이든 당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처럼 고자세로 나가기 보다는 최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트럼프의
눈밖에 안나는 방향으로 전략을 잡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트럼프의 관세 압박이 미국 외부의 강한 저항 뿐 아니라 미국 내부적으로도 지지율이 급락하고 시위가 증가 하는 등 내부 저항에 도 직면 해 있습니다. 이 때문인지 트럼프 관세 정책 기조가 조금 완화 되어가는 모습이기는 합니다.
말씀처럼 미국의 독단적인 관세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독 대응보다 여러 국가가 연합해서 공동으로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기는 합니다.
지금도 해외 국가들이 무조건적인 저자세로 미국의 관세 정책에 굴하지 않는 이유가 무조건 양보만 해서는 추 후에 지속적인 양보에 굴 할 수 밖에 없다는 인식이 장기적으로 국익에 불리 하다고 판단했기 때문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미국의존도를 강제로 낮추고 어쩔수 없는 단기적인 피해를 전세계에서 감수하면 미국을 압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신 중국이나 러시아, EU 등의 눈치를 보게될 수 있고, 북한과의 대치 상태 중 주한미군의 도움을 받지 못할 우려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