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기 에너지 생산 유형별로 봤을때...
최근 전기 관련 주식들의 오름세가 크던데요..
우리나라의 전기 생산은 다양한 유형으로 생산중인데..
화력,원자력, 수력, 자연친환적인 태양광, 풍력 등등
일단, 우리나라 전기생산의 유형별로 비율이 알고 싶고, 각각 유형별 가성비? 효율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원자력의 전력생산비중이 높죠.
하지만 요즘은 신재생의 비율이 늘어가는 상황입니다. 가성비는 당연히 원자력이 가장 좋지만 위험성이 높은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기는 주로 석탄이나 가스 같은 화력 발전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원자력이 많고,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비중은 적습니다. 화력은 안정적이지만 환경에 좋지않고, 원자력은 효율이 좋고 전기 생산 단가도 낮은편입니다. 재생에너지는 친환경이지만 날씨 영향을 많이 받아 아직은 보조적인 혁활에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기 생산 비율은 석탄화력이 30%이상 , 원자력이 25%이상 , 가스 25%이상 , 신재생 10% 및 수력 1% 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형별 가성비은 원자력이 연중 가동율이 83%로 가중 길고 발전 단가는 61원 으로 가장 저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뒤로 석탄은 81% 단가는 100원 내 , 가스는 130원 내 , 태양광은 15% 가동률에 단가는 212원, 풍력은 20%대 단가는 207원, 정도 입니다.
정리하자면 원자력이 발전단가와 투자 비용을 포함하더라도 가장 낮고 가동율이 높아 경제성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생산은 화력, 원자력, 수력,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 비중이 늘면서 태양광과 풍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화력은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이지만 환경 부담이 크고 태양광과 풍력은 친환경이지만 초기 투자비용이 높고 효율이 낮은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 유형에 따른 기준을 보면 이는 석탄을 활용한 화력발전이나 원자력 발전이 주를 이룹니다. 그 외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하지만, 에너지 활용도가 높은 것은 화력발전소와 원자력발전소입니다. 다만 화력발전소의 경우 탄소의 배출이 많은 문제가 있어, 탄소중립의 에로가 있습니다. 이 외로 원자력발전의 경우 탄소 배출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기 생산 비율은 화력이 약 60프로 원자력이 30프로 재생에너지는 약 10프로 수준입니다 가성비 측면에서는 기본 원자력과 석타화력이 단가가 저렴한 편이며 태양광 풍력은 설치비가 높지만 장기적으로 친환경성과 유지비 측면에서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는 출력이 불안정하고 계절·날씨 영향을 많이 받아 아직까지는 보조적 역할에 머무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