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도토리
도토리

운동 후 협착증 증상이 재발 되었는데 도움이 필요해요

성별
남성
나이대
53
기저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복용중인 약
고혈압 고지혈증

경추 요추 하단에 퇴행성 협착 소견에 증상이 나타난지 1년 되었습니다.

그리 심하지는 않다는 의견에 최근 수개월은 증상이 없다가 10일전 수영 중 목에 이상을 느껴 중지 후 다음날부터

허리 목의 통증 및 오른팔, 다리에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처음에는 허리가 더 안좋았으나 충격파 이후 개선이 되던 중 어제 신전동작을 가볍게 하던 중 목에 증상을 느낀 후 목 상태가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움직이면 목 뒤가 화~한 느낌이 번지며 뻐근한 통증과 함께

팔다리에 방사성 저림 등의 느낌과

머리쪽 압박 뻐근함과 가슴 등 속근육의 기분나쁜 반응 등이 다소 나타납니다.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치료 중이었습니다. 악화된 목 증상은 mri촬영이나

목주사 등의 다른 치료를 당장 고려해봐야 될까요? 침치료 물리치료 등도 고려의 대상입니다.

갑작스런 증상에 당혹 스럽습니다ㅜ

현재 및 중장기적 대응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전형적인 목디스크 증상으로 생각이 됩니다. MRI 촬영이 가능한곳에서 진료 및 치료 받는게 제일 좋으실것 같습니다. 목디스크는 가급적 무리하지 말고 안정을 취하시는게 제일 좋고, MRI 결과 및 증상에 따라 주사치료 or 물리치료 등 통해서 증상완화를 하는게 좋겠습니다. 디스크 있을때는 목 신전운동도 가급적 제한하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퇴행성 협착이라고 표현하셨는데 척추관이 좁아진건지,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공간이 좁아진건지, 엑스레이만 보고 이야기를 들은건지, MRI를 찍어서 이야기를 들으신건지에 따라서 이야기가 달라지겠습니다.

    우선 지금의 상태는 MRI를 찍거 경추 척수병증이 생긴건 아닌지 꼭 확인을 해봐야하는 상태로 보입니다.

    단순 디스크탈출에 의한 신경뿌리병증인지, 경추 척수병인지에 따라서 보존적인 치료를 먼저 해볼것인지, 수술적인 치료가 빠르게 필요한지가 달라지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1년전에 목과 허리의 퇴행성 협착 소견을 들으신 상태시라면 퇴행성 디스크에 단계로 보이고있습니다.

    현재 증상으론 디스크가 신경을 건드려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부분 같은경우 우선 보존적인 치료법인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등을 통해

    치료 후 호전이 없으시다면 주치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시술 또는 수술법으로 선택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MRI 같은경우는 엑스레이에서는 보이지않는부분까지 좀 더 정밀하게 볼 수 있고 디스크에 상태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주치의와 상담 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퇴행성 디스크는 누구나 올 수 있고 꾸준한 관리만 하신다면 일상생활속에서도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척추의 압박이 심했을경우 통증이 재발되거나 악화가 될 수 있는데

    현재 갑작스런 증상에 걱정되시겠지만 너무 걱정마시고 비수술적인 치료를 해보시고 안되시면 수술적 치료법으로

    접근해보시길 바랍니다.

    빠른 쾌유와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갑작스러운 증상 악화와 방사통이 있다면 mri촬영을 고려해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는 소염진통제와 안정이 필요하고 증상이 심하면 신경차단 주사도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중장기 적으로는 물리치료, 재활, 생활습관 교정을 병행하면서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