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어떻게 조선보다 빨리 조총을 수입 활용하기 시작한 것인가요
임진왜란 당시 조총의 위력은 엄청났습니다 조선에서도 조총을 이미 알고 있었다고 전해 들었는데요 왜 일본은 그렇게 빨리 조총을 실전에 사용하게 된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591년 일본 사신이 처음 바친 것을 시작으로 합니다.
일본은 1543년 8월 23일 일본 규수에 위치한 다네마시마에 명나라와의 무역을 하던 포르투갈 상선이 표류했고, 이때 표류한 승조원들은 일본인들과 말이 통하지는 않지만 배 안에 명나라 사람이 한명있어 그를 통해 한자로 필담을 나웠는데, 다네가시마의 젊은 영주 토키타가는 이들과 필담을 나누는 중 포르투갈인이 들고있던 화승총을 주목합니다.
그는 포르투갈인들에게 화승총의 양도를 요청, 2정에 2000냥을 주고 구입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서구 유럽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포르투칼로부터 조선업과 조총 그리고 타바코(담배) 등을 받아들여 강력한 힘을 갖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조총을 처음 손에 넣게 된 계기는 포르투칼에서 온 상인들 로부터 입니다. 일본은 1543년 포르투칼로부터 온 상인들로부터 2개의 조총을 구입 하게 되고 이를 카피 하여 수만정의 조총을 만들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일본으로부터 임진 왜란이 끝날 무렵 조총을 얻어 만들었으니 약 200년이 뒤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문호를 빨리 개방하여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였지요. 네덜란드 나 영국 스웨덴 등에서 발달했던 총포를 수입해서 전쟁 무기로 활용했던 거죠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동안 일본은 유럽 상인(특히, 포르투갈)과의 접촉이 증가했습니다. 이 상인들은 조총을 포함한 첨단 화기를 가져왔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은 조선보다 총기 기술 지식을 미리 습득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전국시대로 알려진 격렬한 내전의 시기를 겪으면서 더 강력한 무기를 찾아내려고 노력했습니다. 특히, 오다 노부나가는 나가시노 전투에서 소규모의 조총 부대로 기마 부대를 상대로 승리한 기록이 있을 정도로 총기의 잠재력을 먼저 인식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