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매수해도 괜찮을까요? 매수 고민
삼성전자의 주가가 4만 원 이하로 떨어지고 지난 금요일에 5만 원을 다시 회복했는데요
너무 많이 떨어진 가격대인 건 분명해 보여
매 월 일정금액 적립식 투자로 들어갈려고 합니다.
괜찮은 투자일까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 월 적립식 투자는 나쁜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1등기업에 글로벌 기업이고 지금 가격은 싼게 맞습니다 자사주 10조 매입공시로 당장 월요일부터 주가가 크게 상승할 확률이 높습니다
월적립식으로 꾸준히 매입하다 언제고 십만전자 가면 다 팔면 되지 않을까요 시간 싸움이죠 그래서 여유자금으로 꾸준히 매입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위험자산은 대응의 영역같습니다 질문자님은 대응 잘 하셔서 큰 수익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어떤 상품의 미래가격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삼성전자도 향후 어떤 방향으로 가격변동이 진행될지 예측하기 힘들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인공지능 시대의 필수적인 반도체 산업에서 삼성전자가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계속해서 우상향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를 장기적으로 보고 있다면 현재 가격은 높은 가격이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또한 다른 기업들과 다르게 주가관리도 화끈하게 진행하기 때문에 주주환원이나 주주가치 제고 측면에서
우리나라에 삼성전자만한 기업이 없다고도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삼성전자는 주가에 신경을 쓰겠다는 의지로 해석되고 단기로 접근한다면 모르겠지만 장기투자
에는 지금부터 분할 매수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의 금요일 반등 자사주 매입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으로 보이며 기술적 경쟁력을 다시 회복해서 상승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현재 반등이 일시적 호재에 대한 반등인지, 아니면 바닥을 확인한 반등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라며, 구입하시기를 원하신다면 말씀하신대로 적립식 투자로 안정적인 투자를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지난 주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 하며 주가가 7% 넘게 오르며 단숨에 53,5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그러나 자사주 이전에 보유하고 계셨으면 홀딩, 신규 진입은 추천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사측에서 시가 총액에 3% 내외의 자사주 매입 발표를 발표 했으나 최근 주가 하락을 이끈 현재와 미래의 펀더멘털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입니다. 주력 반도체 사업에서의 경쟁력 회복이 필요하고 미국 수출 시장의 불확실성 등이 어느 정도 해소가 될 필요성이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평소에는 등락이 크지 않고 배당이 적당히 나오기에 장기로 모아가는 투자를 많이 했지만 최근에는 대형주 답지 않게 등락이 크고 했기에 지금부터 모아가도 좋지만 당분간은 시세가 크게 빠질 수도 있으니 염두해두고 들어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6만원 이상까지는 그래도 올해~내년초까지 회복해주지 않을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는 한국 증시에서 대표적인 블루칩 주식으로, 현재 주가는 과거 고점 대비 낮아 매수 매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방식은 주가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좋은 전략입니다. 다만,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회복 속도와 금리, 환율 등 외부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성전자의 기술력과 안정적인 배당 매력은 여전히 높지만, 투자의 핵심은 본인의 자산 배분과 투자 기간에 따라 다르므로 여유 자금으로만 진행하세요. 추가적으로 정기적으로 실적과 시장 상황을 점검하며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적립식 투자는 리스크 분산에 좋은 방법이구요 삼성전자는 우량주라 장기적으로 유망하기에 소액분할투자방식 좋은것같습니다.(긍정적의견)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삼성전자 매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삼성전자가 약 10조원어치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예고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단타로 들어가보시 좋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와 같은 경우에는
현재 자사주 매입 등 호재 등도 발표하였으나
기술력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등
이에 따라서 매수의 적기일지는 알 수 없으며
본인이 판단하셔야 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괜찮은 투자라 생각합니다. 저가매수세도 많이 유입이 됐고, 자사주매입도 밝혀 긍정적 시그널이 생긴 상황입니다. 여기에 사업적으로만 좋은 방향성이 생긴다면 앞으로 좋은 주가흐름을 보여줄 가능성은 크다 생각합니다. 다만 그 기간이 길 수는 있으므로 말씀하신대로 꾸준한 적립식 매수가 좋을 수 있겠습니다.
저는 5만원 초중반 때까지는 손해 보기 힘든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6만원 정도라고 해도 충분히 회복 가능하다고 보고 제 평단인 7만원도 몇 년안에는 회복할 겁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월 적립식 투자방법으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삼전의 경우 외국이들이 대량으로 매도중이었으나 최근 자사주 매입소식에 2일 연속 외국인 순매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외국인 매수추이를 지켜보며 외국인이 매수하며 일부 매수하고 매도하면 기다리는 전략이 필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최근 5만 원대로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가 매수 적기인지, 아니면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주가 하락 원인 분석
1. 반도체 업황 부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수요 둔화와 공급 과잉으로 인해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였고, 이는 삼성전자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 경쟁 심화: 고대역폭 메모리 (HBM) 시장에서 경쟁사인 SK하이닉스와의 격차가 벌어지며 시장 점유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3. 외국인 투자자 매도세: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도세로 주가 하락이 가속화되었습니다.
향후 전망
1. 주주환원 정책: 삼성전자는 최근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주주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 반도체 시장 회복 가능성: 일부 분석가들은 2024년 하반기부터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AI 시장 성장: 인공지능 (AI) 시장의 성장으로 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삼성전자의 중장기적인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 판단
현재 주가 수준은 과거 대비 저평가된 측면이 있으나, 반도체 업황의 불확실성과 경쟁 심화 등을 고려할 때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분할 매수 전략: 현재 가격에서 일부 매수하고, 주가 변동에 따라 추가 매수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 관점: 삼성전자의 기술력과 시장 지위를 감안할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투자 결정 시에는 본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허용 범위를 신중하게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청산가치를 고려한 단순 주가계산을 해보겠습니다. 과연 어느정도 가격이 최저점일까 입니다.
삼성전자의 주당 청산가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차감한 후, 이를 총발행주식수로 나누어야 합니다.
2023년 말 기준 삼성전자의 총자산은 약 3,480,383억 원이며, 총부채는 약 596,978억 원입니다. 따라서 순자산은 3,480,383억 원 - 596,978억 원 = 2,883,405억 원입니다.
삼성전자의 총발행주식수는 6,792,669,250주입니다.
따라서 주당 청산가치는 2,883,405억 원 ÷ 6,792,669,250주 ≈ 42,450원입니다.
이 계산은 2023년 말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하며, 실제 청산 시에는 자산의 시장가치 변동, 부채의 변동, 기타 비용 등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4만원 초반 5만원 이하는 적극매수구간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