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친근한말벌105
친근한말벌10523.12.22

A형 독감 발병 원인이 궁금합니다 전염으로만 감염이 되는건가요?

나이
23
성별
여성

A형 독감 발병 원인이 궁금합니다.

보통 전염으로 걸린다고 하는데 다른 이유로 걸리기도 하나요? 어떤 이유로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A형 독감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이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고선 발병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전염 이외의 방법으로는 독감이 발생할 수 없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감기(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가진 환자가 기침하거나 말할 때, 코와 입에서 나오는 분비물에는 해당 바이러스가 함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분비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감기 바이러스는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되고, 건강한 사람의 입이나 코에 닿아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기(인플루엔자) 환자와 가까운 거리에 있거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감기(인플루엔자) 환자가 있을 경우, 바이러스의 전파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와 더불어 호흡기 감염 경로 외에도, 감기(인플루엔자)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이 묻어있는 수건 등을 만진 후, 그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면, 감기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손의 접촉을 통한 전파 역시 주의해야 합니다. 묻어있는 분비물이 닿은 손을 얼굴 부분에 가져다 대는 행동은 감기 바이러스 전파의 위험을 키울 수 있으므로, 손을 자주 세정하고 위생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대부분 전염으로 걸리게 되며

    감염된 분의 비말을 통하거나, 공기중, 물건에 묻어 있는 바이러스 등의 접촉에 의해서도 전파가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A형 독감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의해서 감염이 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전염을 통해서만 감염이 이뤄지며, 다른 이유로 걸리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