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누워있는아이에게 음식을 입에 갖다주는게 잘하는걸까요?
저는 아이가 깨워도 안일어나면 밥을 안준다고 합니다.ㅜ하지만 아내는 아이가누워있으면 입에다 뭐라도 갖다줍니다. 전 개인적으로 반대입장인데 이게잘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일어나고 싶어지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강제로 먹이거나 강요하는 것은 아이의 반발심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 하고 계신 행동은 아이를 망치는 행동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먹지 않는다면 굶겨서 본인이 찾아 먹을 수 있도록 해주셔야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런 부분에서 아빠, 엄마의 입장 차이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엄마들은 어떻게든 뭐라도 먹여서 보내고 싶어합니다.
다만 누워 있을 때 음식이 몸에 들어가면 소화 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니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누워있을때 밥을 먹이는 경우에는 음식이 기도를 막을수 있기때문에 위험합니다. 아이가 일어나기 싫어해도 정해진 시간에 식탁에 앉아서 음식을 먹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아이를 깨워서라도 식탁에서 밥을 먹을수 있도록 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양육방식에 있어 부모가 의견이 다른 경우
사전 대화를 통해 아이의 양육방식을 조율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서로 대화를 자주 하여 아이들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의 접근은 다를 수 있지만, 일관된 교육과 접근 방식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배고픔을 겪을 때 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시기에 식사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이가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격려하고 모범이 되어야 합니다.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올바른 식사예절과 습관을 들이도록 함께 노력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대하는것이정상이랍니다.
입에넣어주는건
이후아주버릇이없는아이를키우는지름길이될거에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지만요.
성장할때는 아침을 먹는것이 두뇌활동에 좋다고 해요.
그렇다고 잠에서 덜깨 누워있는 아이에게 밥먹이는것은 건강상 해롭거나 채할 수도 있지요.
아이를 깨우는것이 쉬운일은 아니겠지만 일어날 수 있는 자극이 필요하네요.
저는 등을 긁어주거나 다리를 안마로 주무르거나 뽀뽀를 일어날때까지 했답니다.
그 후로는 몸을 깨우는 시간을 가지고 나서 일어나더라구요.
큰 소리 알람을 틀어주는것도 도움되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식사를 하는것은 자립성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아직 일어나서 준비도 되지 않았는데 음식을 넣어주는 것은 아이의 옳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도 좋지 않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누워있는데 음식을 갖다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음식은 식사 자리에 와서 먹을 수 있도록 지도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직접 혼자서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잠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길러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셔야 합니다.
언제까지 아이 옆에서 뒤치락 해줄 순 없습니다. 아이가 혼자서 독립심을 기를 수 있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부모님을 의지 하지 않고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