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뽀로로
뽀로로23.11.05

아이가 열성경련을 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나이
3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아이가 고열이 나면서 경련을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안전한지 궁금합니다.

그냥 바로 119에 신고하면 되는걸까요? 신고하더라도 119가 올 때까지 어떻게 해줘야하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 개인적으론

    일단 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몸을 맛사지하는 것이 우선이고

    구토 등으로 질식?하지 않게 머리릎 옆으로 돌리고

    혹시 입안에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듯 합니다

    낙상 등에 주의하여야 하고요

    + 119에 바로 신고는 해야 할 듯 합니다


  • 아이가 열성 경련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침착하는 것입니다. 열성 경련 때문에 아이가 죽거나 심각한 후유증이 남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아이가 혀를 깨물어 출혈이 생기고 흡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나무 설압자나 젖가락 같은 것들을 사용하여서 치아에 물려주시길 바랍니다. 너무 단단한 물건을 물리면 치아가 손상될 수 있으며 급하다고 손가락을 집어넣거나 하면 다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그 외에는 딱히 해줄 것 없으며 119에 신고하여 빨리 응급실로 가서 조치를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되도록이면 열성 경련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미리 발열 조절을 잘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119에 신고를 하시고 그 동안 기도를 확보해야 합니다

    토한 이물질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고개를 옆으로 돌려야 합니다

    옷을 느슨하게 하고 시원하게 해줍니다.

    경련의 양상 지속시간 등을 잘 관찰합니다.

    바늘로 따거나 하면 안 됩니다.

    이 정도만 해주셔도 충분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당황하지 않는 것입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아이가 집에서 열경련을 겪고 있는 경우, 팔다리를 억지로 펴주거나 물을 먹이거나 손발을 바늘로 따는 등의 행위는 피해야 합니다. 또한,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되면 가까운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5세 이전까지는 발열로 인한 열성 질환에 걸렸을 때 초기에 소아과 전문의 상담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발열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래나 응급실에 도착한 열성 경련 환자들은 대개 이미 경련이 멈춘 상태이며 지속 시간이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대다수의 환자들에게는 경련을 치료하는 약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우선은 119가 도착하기 전까지 머리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부드러운 곳에 누워 있을 수 있도록 보조해 줘야 하고 아이들의 경우 입으로 다른 물질을 무의식 중에 넣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해 줘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