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우리나라에서 먹을 수 있는 해초의 종류는 몇 가지나 있나요?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라서 많은 물고기와 해조류를 먹고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은 다른 나라보다 김이나 미역과 같은 해초를 많이 먹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먹을 수 있는 해초의 종류는 몇 가지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해초 또는 잘피는 바다에 사는 종자식물을 말하는데요, 식용으로 쓰이는 해초의 경우에는 해초의 섬유질이 당의 흡수를 지연시켜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며, 각종 미네랄 및 비타민, 섬유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몸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줍니다.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해초로는 김, 미역, 다시마, 파래, 톳, 모자반, 청각, 우뭇가사리, 곰피, 매생이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먹을 수 있는 해초는 미역, 다시마, 톳, 파래, 매생이 등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에서 먹을 수 있는 해초의 종류는 정확히 몇 가지라고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해초를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종류의 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식용으로만 이용되는 종류만 따로 꼽거나, 지역별 특산 해초를 포함하느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질 수 있고 최근에는 새로운 해초 종류가 발견되거나, 기존 종류를 다시 분류하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해초의 종류 수가 늘어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30~100여 종 이상의 해초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식용 해초 종류 김, 미역, 다시마, 파래, 톳, 모자반, 청각, 우뭇가사리, 곰피, 매생이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해초들이 지역 특산으로 먹히거나, 가공 식품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김을 예로 들면 김을 소화시킬 수 있는 효소가 한국인들에게 많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먹는 해초의 종류를 열거해보자면 김, 미역, 다시마, 파래, 청각, 톳, 구멍쇠, 매생이, 돌미역 등이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이용되는 해초의 종류는 약 40여 종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해초로는 김,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꼬시래기, 매생이, 곰피, 잘피, 우무, 청각, 구남안 등 다양한 종류의 해초가 식용으로 활용됩니다. 이들 해초는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분이 풍부해 건강식품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서해안과 남해안, 제주도 등 해조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해조류를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 고유의 식문화와 더불어 해조류 자원이 풍부한 것이 국내 해초 종류가 다양한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는 서식하는 500여종의 해초에서 먹을 수 있는 해초가 약 50 종류나 된다고 합니다.

    크게, 홍조류, 갈조류, 녹조류라는 색을 기준으로 분류를 해두었습니다.

    녹조류는 따뜻한 바다인 난류에서 자랍니다. 대표적인 해조류는 파래 감태가 있습니다.

    갈조류는 황갈색 흑갈색을 띄며 차가운 한류에서 자랍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역, 다시마, 톳 등이 있네요

    홍조류는 난류, 한류 모두 서식하며 붉은 색을 띠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꼬시래기, 우뭇가사리가 있습니다.

  • 우리나라의 해조류는 대략 400여 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중 식용 가능한 해조류는 50여종이며 파래, 김, 청각,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