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결혼식 축의금으로 얼마 정도가 적당할지 헷갈리는데 기준이 있다면 뭐가 있을까요?
요즘에 친구들 결혼식이 많아지면서 축의금으로 나가는 돈이 은근히 많아지게 되더라고요. 몇 년전에는 그냥 5만원을 기본으로해서 친한 친구일 때는 10만원이고 직장 동료는 3만원 정도 했던 거 같은데 물가도 오르고 케이스마다 다르다보니까 매번 얼마가 적당한지 고민하게 되더라고요. 특히 결혼식이 몰려 있을 때는 한 달에 축의금만 몇십만 원 나가는 것 같아서 솔직히 부담될 때도 많아요. 다른분들은 친구 결혼식 축의금 얼마 내세요? 혹시 본인만의 기준이 있으신가요? 친한 정도, 결혼식 규모, 본인이 결혼할 때 받은 액수 등등 여러 가지 기준이 있을 것 같은데, 다들 어떻게 결정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괜히 적게 내서 고민되거나 반대로 그 정도 사이까지는 아닌데 너무 과하게 내서 저나 상대방 둘다한테 부담이 되지 않을까 걱정되더라고요.
그 친구에게 직접 청첩장을 전달받고 밥 한끼 얻어 먹었다면 10만원 정도 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모바일 청첩장으로 전달받았다면 그 이하도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요즘 결혼식장 식대가 많이 올랐다고 하니 이를 참고해서 왠만하면 10만원 정도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가까운 지인이고 오래 볼 좋은 사람이라면 그 이상도 괜찮을 것 같구요.
친구의 결혼축의금은 친구와의 친밀도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죽마고우로 친한 친구라면 20만원 이상은 해야 할 것이고, 보통 간혹 만나는 친구라면 10만원 정도,
그냥 이름만 알고 어쩌다가 만나는 친구라면 5만원이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자신의 형편에 따라 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축의금 문화는 대체로 주고 받는 문화이기에 보통 10~20만 원 정도 기준으로 합니다. 친한 친구는 친구들 계비를 통해 100만 원 했었습니다. 나머지 사회생활에서 관계는 대부분 10만 원 정도 하고 친척 등 어느정도 관계가 있는 경우 20만 원 정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친구 결혼식 축의금은 대체로 10만 원이 가장 널리 통용되는 기준이며, 친밀도가 높을수록 15만~20만 원 이상을 내기도 합니다. 반대로 연락이 뜸하거나 예의상 내는 경우 5만 원이 적당합니다. 자신의 경제적 여건, 상대와의 관계, 결혼식 참석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면 됩니다
요즘은 축의금 기본이 10만원인것 같아요.
안면만 있는 경우는 5만원 축의금만 보내고 결혼식은 참석하지 않으셔도 되구요.
베프라면 더 할수도 있겠네요.
어차피 축의금은 품앗이니깐 나중에 낸 만큼 돌려받습니디ㅡ.
봄이나 가을이 되면 축의금이 많이 나가는데요. 축의금 떄문에 고민들 많이 하더라구요 보통 친한 친구라고하면은 10~20만원이 적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축의금은 보통 관계의 친밀도에 따라서 3만원-10만원 사이가 정합니다. 직장 동료는 3만원, 일반친구는 5만원, 친한 친구는 10만원이 일반적 기준입니다. 다만 식대 가격이 올라서 요즘에는 제시한 것보다 2-3만원 더하는게 좋을수도 있습니다
친구 결혼식에 가는 기준으로 그냥 얼굴만 알고 간간히 만나는 수준이라면 축의금으로 십만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고요. 베프라고 생각하면 30만원 이상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