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

맥주를 주조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나뉘는 용어 정리?

대부분의 성인들이 즐겨 마시는 맥주를 보면

라거 웨일? 등의 용어가 그 가공ㅂᆢㅇ법에 의한 것이라고 하는데요

머릿속에 정리가 확실히 안되네요

구분해서 깔끔하게 정리 부탁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튼튼한라마20
      튼튼한라마20

      맥주를 주조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나뉘는 주요한 용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에일 (Ale): 상면 발효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맥주. 발효 과정에서 상면 효모가 사용됩니다. 영국 스타일의 에일은 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2. 라거 (Lager): 하면 발효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맥주. 발효 과정에서 하면 효모가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깔끔하고 가벼운 맛이 특징입니다.

      3. 람빅 (Lambic): 벨기에에서 만들어지는 특수한 종류의 맥주로, 고유한 혼합발효 과정을 거칩니다. 대부분 과일 향이 많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4. 스타우트 (Stout): 에일의 한 종류로, 곡물이 더 많이 사용되어 짙은 색상과 크리미한 거품이 특징입니다. 아일랜드에서 유래되었으며, 대표적으로 기네스 맥주가 있습니다.

      5. 포터 (Porter): 영국에서 유래된 짙은 색상의 맥주로, 곡물이 많이 사용됩니다. 스타우트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6. IPA (India Pale Ale): 고도가 높은 인도 여행을 위해 만들어진 에일로, 보통 꽃향기와 쓴맛이 강조된 특징을 가집니다.

      7. 바이젠 (Weizen): 독일에서 유래된 밀맥주로, 밀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가벼우면서도 상큼한 맛이 특징입니다.

      8. 밀러 (Miller): 미국의 대표적인 라거 맥주 브랜드 중 하나로, 가벼운 맛과 함께 깔끔한 느낌이 특징입니다.

      9. 버드와이저 (Budweiser): 미국의 대표적인 라거 맥주 브랜드 중 하나로, 깔끔한 맛과 함께 적당한 탄산 감쇠가 특징입니다.

      10. 하이네켄 (Heineken): 네덜란드에서 유래된 라거 맥주 브랜드 중 하나로, 상쾌하면서도 감미로운 맛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라거와 에일에 대해서 문의해주신것 같습니다.

      라서, 필스너, 뭔헤너, 에일 등이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라거(Lager) : 저온에서 발효시킨 맥주로서, 더 오랜 시간 동안 발효과정을 거칩니다. 보통 밝은 색상과 깔끔한 맛이 특징입니다.

      에일(Ale) : 상온에서 발효시킨 맥주로서, 상온에서 빠른 시간에 발효시키기 때문에 라거보다 더 풍부하고 과일향이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스타우트(Stout) : 보리, 로스팅된 보리, 커피 등의 원료를 사용해 높은 알코올 함량과 짙은 검은 색상을 가지는 맥주입니다. 크림 같은 부드러운 맛이 특징입니다.

      밀맥주(Wheat Beer) : 밀을 사용해 양조한 맥주로서, 밝은 색상과 과일향, 맑은 맛이 특징입니다.

      람빅크(Lambic) : 발효를 위해 자연적인 방식을 사용하고 발효 기간이 길기 때문에 산미와 과일향이 강하며, 구수한 향이 특징입니다.

      IPA(India Pale Ale) : 홉의 양이 많아 비교적 쓴 맛과 과일향이 강한 맥주로서, 인도에서 영국으로 선박을 타고 이동할 때 발효 시간을 늘려 맛을 보존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Beer는 단순히 맥주를 말하는 단어이구요~


      우리가 자주 보는 HOF는 원래 독일어로 농장, 궁 이라는 뜻으로

      지금은 "생맥주를 하는 가게"로 쓰입니다. ^^





      그리고 맥주의 원료는 "홉"이다. 라는 말이 있는데요~


      이때의 홉은 HOP입니다. ^^


      식물을 뜻하는 단어이지요! ^0^




      독일에서 옛날에 맥주 원료 순수령으로 맥주를 만들 때 다른 것을 넣으면 안되고 "홉(HOP)"만 넣고 만들어야 한다. 라는게 있었는데요. 이게 이어져 오면서 독일의 맥주는 순수원료를 지향하고 있다고 합니다. ^0^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맥주를 주조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나뉘는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에일 (Ale): 상면 발효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맥주로, 더 많은 열량과 과일향, 맥아향 등이 특징입니다.

      2. 라거 (Lager): 하면 발효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맥주로, 깔끔하고 깨끗한 맛과 청량감이 특징입니다.

      3. 스타우트 (Stout): 진한 색상과 걸쭉한 맛, 커피 또는 초콜릿 향 등이 특징인 맥주입니다.

      4. 포터 (Porter): 스타우트와 유사한 어둡고 진한 맥주로, 초콜릿, 커피, 열대과일 등의 향이 나타납니다.

      5. 람빅 (Lambic): 벨기에에서 생산되는 산 맥주로, 과일을 첨가하여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6. 셰리 맥주 (Sherry beer): 스페인의 셰리 와인을 사용하여 만든 맥주로, 고급스러운 맛과 향이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