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강직한꿩279
강직한꿩279

주식, 코인 가격 오르면 사고 싶고 내리면 팔고싶은 심리가 뭔가요?

주식, 코인할떄 개미들 대표적인 심리가 있잖아요

가격이 오르면 사고 싶고 내리면 팔고싶은 심리 말이죠.

저도 그런 심리가 들더라구요.

왜 그런 심리가 들어서 자꾸 개미들은 손해를 볼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FOMO 심지는 주식이나 코인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고, 주변에서 누가 얼마 벌었다는 이야기가 들리면, 지금 아니면 이 기회를 영원히 놓칠 것 같다는 강렬한 불안감과 조급함을 느낍니다. 이로 인해 충분한 분석 없이 고점에서 뒤늦게 추격 매수를 하게 됩니다. 이미 가격이 많이 오른 상태에서 진입하기 때문에, 조그만 하락에도 큰 손실을 볼 위험이 높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수익을 내는 것을 보고 막연한 기대로 뛰어들었다가, 고점 매수 후 하락장에서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 뉴턴도 남해회사 주식으로 FOMO에 빠져 큰 손실을 본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대다수의 사람들이 특정 주식이나 코인에 몰려들면, 자신도 그 흐름에 동참해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을 느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그건 인간의 본성입니다. 특정 자산의 투자를 하게 될경우 올라가는 자산을 보게되면 더 올라갈것 같은 심리가 강하게 작용이 되고 이로 인해서 주식뿐만아니라 부동산도 지속적으로 상승할때 거래량이 증가하고 오히려 가격이 하락할때 거래량이 감소하고 거래도 잘 안되며 매물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즉 하락할때는 오히려 신용매물이나 과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지속적으로 하락할것 같은 공포감이 생기다보니 선뜻 매수를 하지 않는 심리가 작동하게 되는것은 그냥 기본적인 심리속성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코인의 경우는 결국 심리와 멘탈싸움입니다. 개인적으로 개인은 멘탈을 잡기가 어렵기 때문에 소액을 분할로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그 심리는 되게 자연스러운 거라 할 수 있습니다. 가격 오르면 뭔가 잘 나가는 느낌 들어서 나만 안 사면 손해볼 것 같고, 내리면 더 떨어질까 불안해서 팔고 싶어지는 게 인간 심리라 그래요. 이걸 전문가들은 군중심리나 손실회피 성향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시장에선 이런 심리가 몰리면 오히려 고점에서 사고 저점에서 파는 결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개미 투자자들이 감정에 휘둘리면 손해 보는 경우가 많다 하고요, 실전에서는 이걸 의식적으로 좀 거슬러서 대응해야 한다는 얘기 자주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과 코인의 매수, 매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어쩔 수 없이 개인 투자자들이 코인의 매수, 매도 타이밍을

    잘 잡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그런 심리가 드는 것입니다.

    오르면 사고 싶고 내리면 당장 팔고 싶은 것이

    우리들의 심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은 확인을 하고 매매를 하고 싶어하는 심리가 있습니다.

    주식이나 코인 가격이 오르면 왠지 더 상승할 것 같은 심리가 들며 내리면 더 내릴 것 같아서 불안한 심리가 들죠.

    고래들은 그와 반대로 행동하여 돈을 벌고 개미들은 인간의 심리에 그대로 순응하여 돈을 잃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들은 손실을 두려워하고 수익은 내고 싶어하는 욕망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가가 오르면 덩달아 수익을 얻고 싶어서 추격 매수를 하고 주가가 내리면 손실을 볼까봐 손절을 하게 됩니다. 이런 판단이 맞는지 잘 생각하면서 매수 매도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fomo 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Fear Of Missing Out 을 줄임말로 다른 사람들이 이익을 보는것에 대하여 자신만 뒤쳐진다는 심리적 불안감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추격 매수를 하거나 저점 매도를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익이 나면 수익에 기분이 좋고, 손실이 나면 손실을 지우고 싶고 하는 그러한 것은 당연합니다. 그리고 수익이 났을떄는 자랑하고 싶은 마인드가 당연한데, 이는 단편적으로 가까운 미래만 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편적인 미래만 보는 것보다는 차트 공부나 실적 공부 등을 통해서 기업이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를 파악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투자를 하는데 있어 오르면 사고 싶은 심리는 투자수익을 놓치는데에 대한 두려운 심리인 fomo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고 내리면 팔고 싶은 이유는 인간의 손실 회피 본능에서 비롯됩니다. 이러한 심리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기투자 관점으로 적립식 분할매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 같은 위험자산 투자가 그래서 어려운거라 생각합니다 사람은 기계가 아니라서 감정이 있으니 감정적 매매를 하면 먹을거도 덜먹고 터질건 더 터질수 있거든요 그래서 매매 할때부터 익절 손절 레벨 확실하게 정하고 분할매수 분할매도 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코인 투자에서 가격이 오르면 사고 싶고, 내리면 팔고 싶은 심리는 “탐욕”과 “공포”라는 인간의 감정에서 비롯됩니다. 가격이 오를 때는 남들보다 뒤처질까 두려운 마음(군중심리)과 더 얻고 싶은 기대(탐욕) 때문에 매수 욕구가 강해집니다. 반면 가격이 하락하면 더 큰 손실이 두려워 공포에 휩싸여 매도를하게 됩니다. 이런 충동적 행동은 행동경제학에서 “손실 회피 편향”과 “추세 추종” 등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되며, 비이성적 투자 결정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너도나도 주변에서 주식이나 코인 투자로 돈을 번다는 소문을 들으면 사고 싶어지는 것이 인간의 심리이고, 주식이 떨어질때엔 더이상 떨어지면 손실이 커질 것 같은 불안함에 매도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 시에 주변 사람들을 따라서 사고 싶어지는 현상을 주로 FOMO라고 합니다. 상승장 시에 자신이 갖지 못하는 자산들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소외될까 두려워하는 심리를 잘 설명하는 현상입니다.

    그에 반해, 자산 가격의 하락 시에 팔고 싶어하는 것은 자신의 투자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고 정보 비대칭성 등에 의해 자신이 알지 못하는 정보들에 의해 가격이 하락하는 것이라고 의심 등을 하면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군중 심리와 손실 회피 심리 때문이에요.

    가격이 오르면 남들도 사고 있다는 신호처럼 느껴져 불안해지면서 따라 사고 싶어져요.

    반대로 떨어질 땐 더 떨어질까 두려워 손해를 확정짓더라도 팔고 싶어지죠.

    이처럼 감정이 앞서면 박호두 매매가 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아요!! 오늘면 사고 싶고, 내리면 사고 싶은 심리는 FOMO때문입니다.

    FOMO는 놓칠까봐 두려움을 느끼는 심리입니다. 가격이 오르면 "나만 못 샀네"라는 불안감이 생기고 그래서 무리하게 매수하여 들어가게 됩니다. 이 시점은 보통 고점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러면서 더 오르기만을 기다리다 물려서 어쩔 수 없는 상황까지 오게됩니다.

    결국 인간의 감정, 공포, 탐욕, 군중심리에서 비롯된 비이성적인 행동입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감정이 아니라 정확히 목표가를 정해놓고 도달하면 무조건 팔고 목표가 아래로 오면 사겠다고 마음먹고 실행해야합니다.

    또한 남들이 사는 시점이 아니라, 남들이 파는 시점에 매수하고 팔때는 올랐을때 과감하게 팔아야 수익이 생긱는 것입니다.

    부디 행복한 투자를 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격이 오르면 사고, 내리면 파는 심리는 확증편향과 군중심리에서 비롯됩니다. 이 심리는 감정에 휘둘려 고점 매수, 저점 매도로 이어져 손실을 부르게 됩니다. 감정보다는 계획된 투자 원칙과 분산투자가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개인으로써는

    당연한 것입니다.

    오르면 더 오를거 같아서 사고 싶고

    떨어지면 더 손실을 보기 싫어서

    매도하고 싶은 것은 인간으로써의 본능이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