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맴돌이 전류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전기이론에서 나오는 전기용어 중에 맴돌이 전류라고 나오는데 전류가 맴돈다는 말 같기도 한데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맴돌이 전류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철 등의 금속 내부를 지나는 자속이 변화하면 철내부에서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릅니다.
이와 같은 전류를 맴돌이 전류 또는 와류라고 합니다.맴돌이 전류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류입니다. 다만 물체 내부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닫힌 통로를 향해 흐르므로, 소용돌이 모양처럼 흐르기 때문에 맴돌이 전류라는 말이 붙었다. 즉, 폐회로에서 생성되면 유도전류라고 부르고, 물체 내부에서 폐회로가 형성되면 맴돌이 전류이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생성되는 원리는 모두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맴돌이전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해 도체 내에서 유도되는 순환 전류입니다. 프랑스 물리학자 Léon Foucault의 이름을 따서 Foucault 전류라고도 합니다. 맴돌이전류는 자체 자기장을 생성하며, 이는 이를 생성한 원래 자기장의 변화에 반대하는 쪽으로 발생합니다.
이 현상은 Lenz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으며 열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초래합니다. 맴돌이전류는 변압기 및 금속 탐지기와 같은 많은 전기 응용 분야에서 발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