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는 입원시 보호자가 꼭 필요한가요?
환자는 입원시 보호자가 필요 한가요?
보호자 없이 환자 혼자만
입원은 불가 한가요?
제가 여러가지 문제로 극단적 선택
실패후 정신과 심리적으로 온전치
못한상태로 가족 병문안을 온건데
갑자기 제가 환자 보호자겸 감병인으로
돼서 혼란스럽네요
가족 한명은 뇌경색이 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입원하시는 환자가 스스로 거동이 가능하며 의식이 명료하여 본인이 논리적인 판단이 가능한 상태라면 혼자 입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령자이며 거동 또는 입원 생활에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라면 보호자의 동실 또는 개인 간병사 요청이 필요 할 수겠습니다.
일반병동의 경우 환자가 거동이 불편하다면 보호자가 꼭 필요한게 맞습니다.
혹시나 통합간병시스템이 있는 병동이 있다면 보호자 없이 입원이 가능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뇌경색같이 완전한 1인 간호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런 통합간병 병동에 입원하지 못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보통 환자분이 의사소통이 잘 안되거나 혹은 수면마취로 의사결정이 어려운상황에서 급하게 연락하고 의사결정 해주어야할 보호자를 정해서 입원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병원의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
간호간병으로 운영하는 곳이라면 보호자가 꼭 필요하진 않습니다.
아니라면 간병인을 구하거나 보호자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환자가 스스로를 돌보기 힘든 상황인 경우에는 보호자가 필요합니다. 부득이한 상황이라면 역할을 대신할 간병인을 구해보실 수 있고, 보통 입원한 병동에 문의하시면 방법을 알려주실겁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본인 스스로 거동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이라면 반드시 보호자가 필요로 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환자가 의식이 온전치 못하거나 거동을 하기 불가능하거나 하는 등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면 반드시 보호자가 필요합니다. 뇌경색의 경우에는 보행도 어렵고 의식도 온전치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보호자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입원할 때 보호자의 필요성은 환자의 건강 상태, 병원 정책, 그리고 수행해야 할 의료 절차의 복잡성에 따라 다릅니다. 특히, 정신적, 신체적으로 독립적으로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환자의 경우,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보호자가 필수적이지는 않으며,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
환자가 일상 생활 활동(ADL)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정도, 의사소통 능력, 의료 처치에 대한 이해도 등에 따라 보호자의 필요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병원에 따라 보호자의 동반 여부에 대한 정책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병원은 보호자 없이도 환자가 입원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어떤 병원은 특정 치료나 상태의 환자에 대해 보호자의 존재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신체적인 문제로 자발 보행을 비롯한 병동 생활 유지가 어렵거나 혹은 치료의 비협조 문제가 있다면
보호자/간병인이 있어야 입원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