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디지털제도 지적에 대응하려면 통상 안보 다 아우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데요
요즘 미국이 디지털 규제 관련해서 계속 문제를 제기한다는데 우리나라는 통상뿐 아니라 안보까지 묶어서 대응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더라고요. 이게 그냥 원론적인 말인지 실제 무역 정책에도 변화가 올 신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제기하는 디지털 규제 문제는 단순히 데이터 이동이나 개인정보 보호 같은 통상 규범 차원에 그치지 않습니다. 기술 패권이나 사이버 안보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통상과 안보가 동시에 얽히는 구조가 됩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 보면 디지털 무역 규범을 논의하면서도 미국의 안보 연계 요구를 무시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원론적인 수사가 아니라 실제 정책 방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봐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디지털 제도 지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통상뿐 아니라 안보를 아우르는 종합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한국 또한 이러한 부분을 인식하고 산업계와 정부가 협력해 체계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미국은 하나의 안제에 대하여 제한하여 토론을 하기 보다는 전체 안제로 끌고가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따라서 디지털과 관련된 부분이라도 안보, 무역 등 모든 분야와 상관이 있다고 보시면 되며 이에 따라 무역에도 충분히 변화가 올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디지털세나 데이터 이전 제한 같은 규제를 문제 삼는 건 단순 무역 이슈가 아니라 기술 패권과 안보를 연결해 보는 흐름입니다. 우리나라가 통상과 안보를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 말은 외교적 수사 같지만 실제로 정책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예컨대 반도체 공급망 협력이나 클라우드 보안 규제가 무역 협상과 얽히면서 기업들은 단순 가격 경쟁이 아닌 기술안보 기준까지 충족해야 하는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무역정책도 기존 시장 개방 논리에서 더 복잡하게 변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