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에 걸리는게 집단면역력에 영향이 있나요?
코로나동안 사람들이 마스크나 손소독으로 감기에 다들 덜 걸려 집단면역력이 떨어졌다고하는데요
감기에 걸린다고 집단면역력이 늘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집단 면역은 특정 질병에 대한 집단의 저항력을 말하는 것으로, 대규모 예방접종이나 대규모 감염 이후 면역 형성으로 발생합니다. 어느 집단이 집단 면역을 얻게 되었다는 것은 집단의 상당 부분이 특정 질환에 대한 면역을 가지게 되었다는 말이고, 따라서 비감염자에게 전파될 확률을 낮춘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집단에서 감기에 많이 걸려서 해당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다수가 획득하였다면, 점차 비감염자에게 전파될 확률을 줄여 유행을 막을 수 있는 의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감기의 경우 여러가지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지목이 됩니다
감기에 한해서는 아직까지 치료제도 없고 백신도 없습니다
감기를 이야기를 할 때 집단면역력을 고려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바이러스에 집단이 감염되면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형성으로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바이러싀의 감염력이 줄어들기 전에 마스크를 하지 않거나 손을 씻지 않는다면 감염력이 있는 바이러스가 계속 전파가 되어 집단 면역력이 약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감기에 걸리면 면역 체계가 병원체를 기억해 재감염 시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면역 기억이 형성됩니다. 이는 개인의 면역력을 강화하지만, 집단면역력 증가는 감기의 경우 제한적입니다.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므로 특정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생겨도 다른 변종에 걸릴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감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한 개인이 감기에 걸렸다고 해서 그로 인해 집단 면역력이 크게 강화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고, 이 바이러스들은 빠르게 변이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감기에 걸린다고 해서 모든 종류의 감기에 대한 면역력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코로나 동안 마스크 착용과 손소독제로 인해 전염병 전파가 줄어들면서 감기도 덜 걸렸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이는 집단 면역력보다는 오히려 전파를 줄여 사람들이 감기에 덜 노출되었기 때문으로 보이는 측면이 큽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감기에 걸린다고 해서 집단 면역력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다양성 때문에 같은 바이러스에 대해 면역이 생기더라도 다른 종류의 감기에는 여전히 걸릴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