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시뻘건앵무새111
시뻘건앵무새111

한국의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가 경제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나 이런걸 보다보면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언급이 많은데요..

주변에서도 아이가 태어나는것보다는 고령화가 더 많기는 한거 같아요.

우리나라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게 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내수시장이 더더욱 줄것이며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국내 투자규모가 더욱 줄것으로 보이며 정부지출도 고령화 복지 예산 확대로 미래 사업에 대한 지출 투자가 주는게 문제입니다

    고령화일수록 소비가 감소하여 내수소비가 감소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니 투자규모가 줄고 이로인하여 국내 직접투자가 감소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거기다 장기적 미래 성장 산업을 정부지출여력이 병원이나 노인 부양 복지로 확대되며 잠재 GDP가 감소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과 고령화는 노동력 부족 문제를 증가시키고, 결국 경제성장률 저하, 세수 감소, 사회적 부양 부담 증가 등 심각한 경제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데요. 노동력 부족이 지속될 경우 경제 성장의 토대가 무너질 수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첫번째로 소비구조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각 연령대별로 소비의 패턴과 소비가능한 영역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고령화가 됨에 따라 젊은 세대들의 소비가능한 부분이 지금보다는 축소될 것 같습니다.

    두번째로 노동가능인구가 줄어들며 노동력 부족이 심화 될 것 같습니다.

    세번째로 의료 및 복지 비용이 증가할 것 같습니다.

    Ex)건강보험료 증가

    이는 노동인구감소와도 연결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경우는 우리나라의 경제인구가 감소한다는 뜻입니다. 경제인구 감소는 내수경제의 하락과 침체를 의미하고 있는 전체적인 나라의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저출산과 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를 감소시키고 고령화로 인해 노년층이 증가하면서 노동 공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져 경제성장률을 둔화시킬 수 있으며 연금 및 건강보험 제도의 부담 증가로도 이어집니다. 이는 자본 축적을 저해하고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