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해가지지않아45
해가지지않아45

유아기에서 부모의 목소리나 언어를 인식하는 능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아기에서 부모의 목소리나 언어를 인식하는 능력이 어떻게 발달하며, 이 과정이 아이의 뇌 구조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부모의 목소리나 언어를 표정과 목소리톤으로 인식을 합니다.

    산모가 임신을 하면서 태교를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태아가 목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태아가 소리를 듣기 시작하는 시점은 임신 초기에 음악 이나 대화 같은 소리에 노출 될 때 부터 입니다.

    약 18주 ~20주 사이에서 듣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태아가 엄마의 뱃속에서 다양한 소리에 노출 될 때 몇 가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많은 연구에서 증명 되었는데요.

    그 중 언어습득와 언어발달은 태아가 엄마의 목소리를 듣고 익숙해지면 이후 출생 후에도 엄마의 목소리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더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이는 언어습득과 언어발달에 많은 도움을 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1. 유아는 태어나기 전에 약 26주 정도인 태아의 태내기부터 언어를 인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그리고 아이가 태어난 이후에는 청각의 피질과 촉두엽의 발달을 통해서 이를 구별하고,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게 됩니다.

    3. 반복적인 부모와의 상호작용,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언어 전달은 아이의 뇌 구조 발달과 성장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유아의 뇌는 출생 후 급격히 성장합니다. 뇌의 특정 영역, 특히 언어와 고나련된 영역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발달합니다. 유아기에는 뇌의 신경 가소성이 높아 부모의 언어적 자극에 의해 시냅스가 형성되고 강화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들은 태어날 때부터 소리에 대한 반응을 보입니다. 엄마의 목소리는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아기는 생후 몇 주 안에 부모의 목소리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킵니다. 신생아는 다양한 소리, 고주파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기에서 부모의 목소리나 언어를 인식하는 능력은 어렸을때 특별히 발달하는 능력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는 생후 6개월부터 부모 목소리를 인식하며 이는 뇌의 언어 영역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언어 자극이 뇌 연결을 강화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는 태아나면서부터 부모의 목소리를 인식하며 언어 발달은 뇌의 언어 영역과 청각 시스템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