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가격은 스테그플래이션 때가 좋은가요? 아니면 인플레이션 때가 좋은가요? 그렇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지금은 고금리 시대로 인해 물가나 모든 것이 상승하는 어려운 시국에 살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금 가격은 스테그플레이션 때가 더 좋은지 아니면 인플레이션 때가 좋은지와 이유는 무엇때문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의 가격은 국제 경기가 매우 좋지 않은 경우에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 더 상승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둘 다 금가격 상승에 압력을 주는 현상입니다. 이론적으로만 봤을 때는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오는 스태그플레이션이 금 가격 상승에 더 큰 압력을 줄 수 있다고 보이며, 최근 인플레이션 발생 시 미국의 정책도 있었지반 금가격이 어느정도 안정적인 가격대를 유지되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 가격은 수요에 의해서 결정 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있을 경우에 금 가격은 경기침체로이랑 불확실성으로 인해서 찾는 사람이 많아지기 때문에 금 가격이 상승 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있을 때 또한 인플레이션에 따른 통화 같이 하락을 금 자산이 보호 할 수 있기 때문에 찾는 사람이 많아져서 금 가격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은 스태그플레이션 때에 더 높은 수익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경우에는 금뿐만 아니라 여러 자산들의 가격이 급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인플레이션 때는 현물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는 경우가 많아
금에게 유리한 경우가 있으나 금과 같은 경우에도 워낙
가격변동의 변수가 많은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화폐의 구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금 같은 안정적인 자산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보호장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금을 구매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조건적인 것은 없습니다만 원리적으로만 본다면 스테그플레이션때가 더 높다고 보여집니다.
이유는 스테그플레이션은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라는 것인데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왔다는 것은 곧 경제침체 및 금융위기의 위험성이 커졌다는 뜻이 됩니다.
화폐 가치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위험 상황에서 사람은 안전자산에 쏠릴 수 밖에 없는데 그렇다면 금으로 돈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의 경우 인플레이션 헷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스태그 플레이션도 일단 인플레이션이 발생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스태그 모두 금값 상승에는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의 가격은 실질금리와 상관있습니다. 그리고 금이 안전자산으로의 역할을 함으로 불안전한 세계경기의 상황에서는 우상향 합니다. 먼저 실질금리와 금의 관계는 반비례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더라도 실질금리가 하락하면 금가격은 올라갑니다. 지금처럼 금리가 올라간다하더라도 물가상승으로 실질금리가 상승폭이 크지 않다면 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금의 경우 투자에 대한 이자가 없습니다. 따라서 실질금리가 상승한다면 금의 가격이 떨어지거나 횡보하게 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보다는 실질금리가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