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잘생긴돌고래44
잘생긴돌고래4423.08.17

치아 파절로 앞니 신경치료 후 실활치미백 vs 크라운 고민됩니다.

현재 상태 : 미끄러져서 넘어져 앞니 파절 후 3주뒤 색깔이 약간 변색됨. 통증은 없고 파절 양은 적음. (20대 초반입니다.)

두가지 치과에 방문했는데 한 치과에서는 무조건 크라운을 해야한다고 하셨고 다른 치과에서는 앞니를 신경치료 후 실활치미백을 하던지 크라운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치아 신경이 다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신경치료도 지금해도 되지만 나중에 통증이 생기거나 치아색이 많이 변색되었을때 그때가서 신경치료를 해도 된다고 하셨는데

1. 지금 제 상황에서 신경치료를 미뤄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최대한 빨리 신경치료를 해야 하는 건가요?

2. 그리고 신경치료를 하게 된 후 제 치아를 최대한 보존하고 싶어서 그런데 실활치미백을 선택해도 되는걸까요?

3. 파절 양이 적은데도 크라운을 해야할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조언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치아를 사랑하고 아끼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

    외상으로 인해 외부에서 치아에 충격이 가해진 뒤 치아 색이 검은색으로 변색된 현상으로 보아 치아 신경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치아가 통증이 없고 그 외 동요도가 없고 위치가 변하지 않았는데 단지 두드렸을 때 약간 민감하게 반응하면 치아는 단순파절, 진탕(concussion)의 가능성이 높고 반면 동요도가 조금 있고 두드렸을 때 반응이 있으면 단순파절, 아탈구(subluxation)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탈구는 외상 후 잇몸과 치아 경계부위에서 피도 나고 그렇습니다. 진탕의 경우와 달리 아탈구는 치수(치아신경)가 괴사될 가능성이 종종 있으므로 주기적인 검사를 해줘야 합니다.

    보통은 외상 직후에는 위음성, 위양성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기치수검사를 100% 신뢰하진 않습니다. 조금 지켜보고 차츰 결정을 합니다. 다만, 지금으로써는 치아 색이 변했기 때문에 신경에 영향이 갔을 것 같고 신경이 살아있는지 EPT(전기치수검사)검사를 마지막으로 해보고 신경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신경에 영향이 가서 변색된 것은 신경치료를 하지 않으면 돌아오지 않으며, 신경치료+실활치미백 치료를 한다해도 100% 돌아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실활치미백이 끝난 후에 레진으로 씌워주어도 되고 신경치료 후에 크라운으로 씌워줘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의 변색이 나타낫다면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치료를 일반적으로 합니다. 이건 환자분의 선택사항이신거 같습니다. 크라운치료는 확실하지만 실활치 미백은 잘될수도 잇고 안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는 하셔야하고 미백은 해도 심미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크라운을 씌우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