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참신한천인조220
참신한천인조220

물을 얼면 부피가 상승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다른 물질등은 온도를 매우낮게 유지하면 물질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요. 어째서 물을 얼면 부피가 상승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물이 얼 때 부피가 늘어나는 원리는 물 분자는 극성을 띠며, 분자 사이에는 수소 결합이라는 약한 인력이 형성됩니다. 이 수소 결합은 얼음이 될 때 분자들이 정해진 각도와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만듭니다. 얼음은 물 분자들이 육각형 구조를 이루며 고정된 결정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 구조는 비교적 느슨하고 빈 공간이 많아서 동일한 질량의 액체 상태보다 고체 상태일 때 밀도가 낮고, 부피는 커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고체는 액체보다 밀도가 높지만, 물은 4°C일 때 가장 밀도가 높고, 그 이후 온도가 더 내려가면 오히려 밀도가 낮아지다가 얼음이 되면 부피가 확 늘어나면서 얼음이 물에 뜰 수 있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액체가 고체가 될때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의 경우는 부피가 9% 정도 늘어나게 됩니다.

    이는 물 내부에 있는 물 분자가 서로 수소결합 이라는 것을 하기 때문입니다. H2O 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산소 하나에 수소 두개가 연결되어 있어 구부러진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부러진 구조 때문에 산소는 음전하 수소전하는 양전하를 강하게 띄고 있습니다.

    그래서 고체 상태가 되면 물 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데 4도 정도가 되었을 때 물분자간의 배열이 육각형 형태로 안정적인 구조를 취하게 되면서 더이상 가까워지지 않으면서 그 사이에 공간을 만들게 됩니다. 이때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물분자는 얼게되면 분자 배열이 규칙적으로 자리를 잡게되면서 얼기전보다 그 간격이 넓어져서 부피가 증가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