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이이가 10만양병설을 주장한 시대적배경은 무엇인가요?
임진왜란이전에 율곡이이가 10만양병설을 주장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근데 그게 사실인가요? 그리고 율고이이가 10만양별설을 주장한 이유와 시대적배경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10만양병설은 당시 조선에서 현실성이 있는 주장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신사로 일본을 살피고 온 김성일은 함께 갔던 황윤길과 달리 두려운 것은 섬나라 도적이 아니라 민심이다. 민심을 잃으면 성과 무기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하며 전쟁 준비에 반대하는데
이이는 1583년 , 나라가 오랫동안 태평하다보니 군대와 식량이 모두 준비되어있지 않아 오랑캐가 변경을 소란하게만 하여도 온 나라가 술렁이니, 지금대로라면 큰 적이 침범해 왔을 때 어떤 지혜로도 당해낼수 없다고 하며 국가는 항상 전쟁준비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당시 북쪽에 여진족과 크고 작은 전투가 있었고 이이의 주장은 진지하게 검토됩니다.
120여년간 분열되었던 일본이 통일 되었고 머지 않아 조선을 침략할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당시 조선의 상황으로 볼때 10만양병설은 받아들일수 없었습니다. 당시 조선 인구가 1200만정도되었는데 10만이나 되는 군사를 훈련하고 먹이는 비용은 막대하고, 당시 조선으로서는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득이었습니다.
또 결과적으로 10만군대를 모았다 해도 백성들이 민심이 나라를 떠나버리기 때문에 의병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을 것이며 1200만명 중 절반은 여자, 나머지 600만중 왕족, 노비, 양반 등 천민을 제외하면 징발 대상은 한정되며 양반의 경우 무과에 급제하여 장수의 신분으로 병역을 이행할수있긴 하나 양반이 무반인 것도 아니고 조선 인구중 성인 남성 10만명을 차출하면 조선 경제가 마비되니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법은 아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0만 양병설을 주장할때만 해도 조선이라는 나라는 크게 외부에 침략이나 전쟁이 없었던
때라서 그 주장이 너무 허무맹랑한 상황이라서 크게 생각하지 않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