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자외선을 보는 동물은 무엇이며 왜 자외선을 보게 됫을까요

사람은 자외선을 볼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자외선을 보는동물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한데요

그리고 왜 자외선을 본것인지 그 환경적요인이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동물은 벌, 나비, 몇몇 종류의 새와 물고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먹이를 찾거나 짝짓기 상대를 찾는 데 유리하도록 자외선을 보는 능력을 발달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벌은 꽃의 꿀샘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보고 꿀이 있는 곳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동물로는 새, 곤충(특히 벌과 나비), 일부 물고기, 파충류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외선을 인식할 수 있는 특수한 시세포를 갖추고 있어, 사람과는 다른 시각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외선을 보게 된 이유는 각 동물의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환경적 요인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벌은 꽃의 꿀을 찾기 위해 자외선을 통해 꽃의 특정 무늬(꿀표시)를 식별하며, 새들은 자외선을 통해 동료의 깃털 색이나 먹이를 더 잘 구분합니다. 이러한 능력은 먹이 탐색, 짝짓기, 포식자 회피 등 각 동물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진화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자외선을 이용하는 동물로는 거미, 전갈, 세날개나비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미는 UV 패턴을 이용하여 먹이를 거미줄로 유인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동물 의 확인실험

    • 죽은 동물의 눈에 자외선을 쏘아 수정체 통과, 망막 도달 실험을 실시함

    • 개, 고양이, 담비, 고슴도치 등의 동물 확인

    • 망막에 맺힌다는 의미는 자외선을 본다는 의미

    자외선을 보는 동물들의 생활차이

    • 일부 곤충은 자외선을 통해 색깔, 문양 구분

    • 쥐나 토끼같은 동물들은 오줌의 흔적을 추적하기 위하여 자외선 사용

    자외선을 볼 수 있게 된 경위

    • 위 내용 토대로 자외선을 볼 수 있는 종의 경우 먹이와 살곳을 찾을 확률이 높아짐

    • 해당 개체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진화된 형태

  •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동물들은 주로 곤충이나 새, 파충류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꿀벌이나 나비, 뱀 등을 들 수 있죠.

    이러한 동물들이 자외선을 볼 수 있게 된 그 이유는 다양한 생존 전략과 관련이 깊습니다.

    많은 꽃들은 꿀샘 부분에 자외선을 강하게 반사하는 무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꿀벌과 나비는 이러한 무늬를 통해 꿀이 있는 곳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곤충 또한 자외선을 통해 먹이가 될 만한 곤충이나 식물을 더 쉽게 찾아낼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많은 새들은 깃털에 자외선을 반사하는 특수한 색소를 가지고 있어 짝짓기 시 상대에게 더 매력적으로 어필할 수 있습니다. 파충류 역시 자외선을 통해 짝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거나 짝짓기 시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부 포식자는 먹이의 자외선 반사를 이용하여 먹이를 찾거나 위장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일부 새들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넓고 먼 지역을 이동하거나 특정 지역을 찾아가는 데 활용합니다.

    즉,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능력은 이러한 동물들이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생존 전략의 하나로 발달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