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2.17

가스라이팅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디서 파생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근 가스라이팅 당했다. 라는 말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가 정신심리학을 배웠는데

거기서 매니퓰레이션(조종)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그것과 비슷한 건가요?

의미는 정확히 무엇이고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가스라이팅도 용어 유래는 패트릭 해밀턴이 연출한 1938년 연극 <가스등(Gaslight)>입니다.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잭이라는 남성이 자기 아내 벨라를 억압하는 이야기다. 잭은 보석을 훔치기 위해 윗집의 부인을 살해했다. 하지만 보석을 찾기 위해서는 불을 켜야 했고, 그 건물은 가스등을 쓰기 때문에 불을 켜면 가스를 나눠 쓰는 다른 전등불이 어두워지거나 깜빡여서 들킬 위험이 있었다.

    ​이 때문에 잭은 벨라가 의심을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집안의 물건을 숨기고 그녀가 물건을 잃어버렸다고 몰아가며 타박한다. 잭이 위층에서 불을 켜고 집안을 뒤질 때마다 벨라가 있는 아래층은 불이 어두워지고 인기척이 났고, 그럴 때마다 잭은 그것도 벨라가 과민반응하는 것이라고 몰아간다. 처음엔 반신반의하던 벨라도 이게 지속되자 자기 자신에게 의구심을 갖게 되고, 점점 무기력과 공허에 빠지게 되어서 결국 남편 잭만을 의지하게 된다. 하지만 경찰인 브라이언의 등장으로 결국 잭의 범죄가 발각된다는 내용. 1944년에 샤를르 보와이에가 잭, 잉그리드 버그만이 벨라(영화에서는 폴라로 이름이 바뀜) 역을 맡아 영화화되었고, 한국에도 가스등이라는 제목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를 지배하는 것으로 타인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지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종이란 개념과 비슷하다고 보입니다.

    가스라이팅은 일반적으로 친밀한 관계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기원은 1938년 가스 라이트 즉 가로등이라는 연극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승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38년 패트릭 해밀턴 작가의 연극 Gas Light에서 최초 유래가 되었고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 입니다. 이런 점에서 심리학에서 말하는 타인의 정신을 조종하는 manipulation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스라이팅은 상대의 자아를 흔들며 상황을 조작하여 자신의 영향력을 증폭시킨 후 자유자재로 다루는 정신적 학대입니다. 피해자인 상대는 점점 자신에 대한 신뢰를 잃어가며 판단력도 흔들려 자존감까지 사라지게 됩니다. 그 때 가해자는 상대를 통제하고 지배하면서 (이 때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매니퓰레이션을 하면서) 재산 등을 탈취하는 범죄를 저지르기도 합니다. 심리상담가 로빈 스턴은 이런 심리술을 이론화한 사람입니다.

    가스라이팅은 영화 가스등(Gaslight)에서 유래한 용어로 로빈 스턴이 만들었습니다. 해당 영화는 남편이 아내의 재산을 노리고 결혼하여, 여러 가지 속임수와 거짓말을 사용하여 정신적으로 고통받게 만드는 과정을 그린 것입니다. 남편은 집안의 가스등을 일부러 어둡게 하고, 아내가 이를 지적하면 계속해서 "당신이 잘못 본 것"이라며 핀잔을 줍니다. 또한 주변 환경과 소리를 조작하여 아내가 스스로를 의심하고, 가해자에게 의지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행위를 '가스라이팅'이라고 부르며, 이 용어는 이 영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가스라이팅을 하는 사람을 '가스라이터'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하여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로 가스등 이라는 연극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연극은 잭이라는 남성이 자기 아내를 억압하는 이야기로 잭이 보석을 훔치기 위해 윗집의 부인을 살해하고 이 보석을 찾기 위해서는 가스등을 켜야했는데 이렇게 하면 가스를 나눠 쓰던 다른 집의 불이 어두워져 들킬 위험이 있었고 때문에 잭은 집안의 물건을 숨기고 부인인 벨라가 물건을 잃어버렸다고 몰아가고 잭이 보석을 찾기 위해 가스등을 켤때마다 벨라가 있는 아래층은 어두워지고, 벨라가 집안이 어두워졌다고 하면 잭은 그렇지 않다는 식으로 아내를 탓하는 것은 물론 정신병자로 몰아세웁니다.

    이에 아내는 점차 자신의 현실인지능력을 의심하면서 판단력이 흐려지고 남편에 더욱 의존하게 되는 이야기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스라이팅은 정신적 학대의 일종으로, 심리적 조작을 통해 타인의 마음에 스스로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현실감과 판단력을 잃게 만듦으로써 그 사람에게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을 말하며, 일상생활중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사건입니다.

    가스라이팅 또는 가스등 효과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패트릭 해밀턴의 연극을 원작으로 한 1944년 미국의 영화 〈가스등〉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gaslighting (effect) ·

    가스등 효과Gas燈 效果]는 상대방의

    자주성(自主性)을 교묘히 무너뜨리는 언행을 말한다. 주로 '상대방에 대한

    간섭', '상황적 연출과 조작', '귀인 오류' 등의 행위를 벌여 피행위자의 판단력을 흐리게 만든다. 정의하자면 가스라이팅이란 '스스로의 판단력을 의심하도록

    만들어서, 판단을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도록 만드는 행위'를 의미하는

    말이다.


    -출처: 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스라이팅은 1938년 패트릭 해밀턴 작가가 연출한 스릴러 연극 가스등 Gas Light 에서 유래된 단어로 정신적 학대를 의미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