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하우징(Senior Housing)의 현황이 궁금해요!
최근 실버타운이 공급되면서 시니어 하우징(Senior Housing)이란 용어가 자주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사업인지 궁금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시장규모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은경 공인중개사입니다.
고급실버타운이라고 보시면되는데 시니어 하우징의 현황은
전국의 36곳. 9천여실이 있고.
향후 2년간 1600여실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향후 5년간 노인의 인구는 200만명 증가할 예정이라 공급이 아주 많이 부족한 현실입니다.
현재 입소대기기간만 2~3년이니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시니어 하우징은 노인복지주택과 같은 개념으로 보시면 되고, 최근 노령인구증가등이 지속화되면서 점차 그 사업성이 높아지고 있는 사업군이긴 합니다. 현재 한국은 내년도에 65세 이사으이 고령인구 비중이 총인구의 20%를 넘어서게 되고 이와 관련된 실버사업 전체규모는 20년 기준 72조에서 2030년 168조원 규모로 시장이 커질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해당 산업군에 속한 시니어 하우징도 시장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각 건설사등도 이에 대한 진출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실제 실버주택에 공급이 우리와 비슷한 초고령화 사회인 일본에 비해 10분에 1에 못미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결국 점차 시니어 하우징에 대한 규모는 크게 확대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이익창출이 가능한 분야라 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형주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실버타운은 우리 주변에 항상 있었습니다만 인구수가 줄어드는데다가 고령화가 되어가며 실버타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잦은 노출이 이루어지는듯 합니다.
양로시설과 노인주택을 합친 용어가 시니어 하우징 입니다.
즉, 복지주택의 개념이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시니어 하우징은 쉽게 말하면 실버타운을 말하는 것인데 분양형 실버타운과, 임대형 실버타운으로 나뉩니다.
한 동안 분양형 실버타운의 경우 불법 분양과 개발 이익 악용 사례가 많아 대부분 임대형으로 공급되었으나 지금은 분양형도 간간히 있는 편입니다.
실버타운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전국 48곳에 불과하며 수요와 공급 간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향후 이익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 진입이 문 앞에 있으며 2020년 72조원에서 2030년에는 약 168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