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불같은박각시189
불같은박각시189

나무가 물위에 뜨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정말 궁금합니다 나무가 물위에 뜨는 이유가. 무엇 인가요. 그리고 또 , 왜 철은 물위에 뜨지 않는 건가요…. 참 신기하면서도 이상하네요. 과학을 잘하시는 유능하신 분들 이 문항에 대해 답해주세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떤 물질이 물에 뜨기위해서는 물의 밀도보다 낮아야 합니다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나무는 물의 밀도보다 낮아서 뜨고 철은 물의밀도보다 무거워서 가라앉습니다

    • 나무가 물 위에 뜨는 이유는 나무의 밀도가 물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나무는 대부분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공기를 가두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물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반면 철은 밀도가 물보다 높기 때문에 물 위에 뜨지 않고 가라앉습니다. 이와 같은 성질은 물체의 밀도와 부력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나무와 같이 밀도가 물보다 작은 물체는 물 위에 떠있을 때 물의 상부로 밀려내는 부력이 발생하며, 이는 물체의 무게와 같아질 때까지 계속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도의 차이입니다. 밀도는 동일한 부피에 물질이 차지하는 질량으로 정의내려지는데요.

      밀도가 낮은물질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물질에 뜨게 되지요. 나무가 물에 뜰수 있는 이유는 물의 밀도보다 나무의 밀도가 작기때문입니다.

      이를 부력의 차이로도 생각할수 있는데

      보통 물질의 무게는 m (질량) x g (중력가속도) 로 정의할수 있고

      물에 뜨는 것을 정의할수 있는 부력은

      매직의 밀도 (kg/m^3) x V (부피) x g (중력가속도) 로 정의할수 있습니다

      물체가 밑으로 향하는 무게의 크기보다 물체를 위로 받쳐내는 부력의 힘이 크다면, 물체는 특정 매질에서 뜰수 있게되겠죠.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 잠긴 물체는 그물체가 잠김 만큼의 물의 무게 만큼의 부력을 받습니다

      나무는 물속에 넣으면 가라앉는 부분이 많지 않아 부력이 커서 물 위에 뜹니다

      철은 나무보다 부피가 작아서 물속에 들어 있는 부분이 적어 질량대비 부력이 적어 가라 앉습니다

      배가 물위에 잘뜰수 있도록 평형수라고 하여 배를 물속에 잠기게 하는 부분이 많아 지도록 합니다

      부력은 물체가 물위에 뜨는 힘입니다

    • 안녕하세요.

      물에 뜨고 뜨지 않고를 결정하는 것은 밀도 때문입니다.

      물의 밀도는 1 g/cm3로서

      물보다 밀도가 높은것은 가라앉고,

      물보다 밀도가 낮은것은 뜹니다.

      이는 무게와는 상관이 없으며,

      따라서 100 kg의 솜은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에 뜨고,

      1 g의 금은 물보다 밀도가 높아 가라앉습니다.

    • 밀도 차이 때문 입니다.

      물의 밀도 보다 나무의 밀도가 적기 때문에, 나무가 물에 뜨는 것입니다.

      반대로 철은 물보다 밀도가 더 크기 때문에 물 아래로 가라 앉습니다.

      밀도란 것은 같은 부피 내에 얼마나 원자들이 빽빽하게 모여있는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