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1.08

나무가 썩는 현상은 어떤 과학적 원리가 적용되는 건가요?

문득 지나가다가 쓰러진 나무를 봤는데 이런 나무는 썩어서 없어지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나무가 썩는 것은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는지 궁금해 지더라구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에 더이상 영양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 죽어버리게 됩니다. 그 이후로 세균이나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가 시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나무의 크기와 주변 환경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정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과 마찬가지로 식물도 외부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체계라는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살아있을 때는 다른 미생물이나 균으로부터 어느정도 자신을 보호할 수 있지만 식물도 죽게 되면 더 이상 외부 미생물에 대한 방어를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다른 미생물들이 번식하게 되면서 우리가 말하는 소위 썩게 되는 상태가 됩니다.

    썩어서 없어지는데는 다양한 요소(환경, 식물의 크기, 미생물의 종류 등)가 작용하므로 일반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자연 환경에서 톱날균,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분해 생물에 의해 분해됩니다. 이 생물들은 나무의 섬유를 분해하고, 나무 구성 성분인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스, 리기닌 등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가 썩는 것은 주로 생물학적인 작용때문입니다.

    곰팡이 선충류 세균 등에 의해서 나무의 섬유를 분해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셀롤로오스, 리그닌 등의 영양소를 얻고

    나무는 썩어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죽은 나무에 습기가 있으면 해로운 박테리아가 번식하며 뿌리나 줄기등에 곰팡이에 의해 손상되어 썩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가 썩는 과정은 자연적인 분해 과정인데, 이는 다양한 생물들이 참여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생물분해'라고도 불리며, 주로 미생물과 곤충들이 참여합니다.

    나무가 쓰러지면, 먼저 곰팡이와 세균 등의 미생물이 나무 표면에 붙어 분해 과정을 시작합니다. 이들은 나무의 섬유질을 분해하면서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 과정에서 나무는 점점 부서지고 무너져가게 됩니다.

    또한, 벌레나 곤충들도 나무 분해 과정에 참여합니다. 이들은 나무를 먹으면서 나무 내부를 파고들어, 미생물이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줍니다.

    이런 과정이 계속되면서, 나무는 점차 퇴비화되어 토양에 잘 섞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가 썩는 현상은 여러 가지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일어납니다.

    나무의 세포벽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성분은 층상 구조를 이루고 있어, 일반적으로는 쉽게 분해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부 미생물들은 이러한 나무를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미생물들에는 세균과 균류가 있습니다.

    이들 미생물은 나무를 분해하면서 에너지를 얻고, 이 과정에서 나무는 점차 썩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나무가 썩는 현상은 이러한 미생물들의 활동과 그들이 나무의 세포벽을 분해하는 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가 떨어지거나 죽게되면 그곳에 벌래들이 살게 됩니다. 벌래들이 나무를 갉아먹고 그 가루들이 땅에 흡수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유기물은 보통 산소와 습도가 만났을때 부패가 시작됩니다. 나무도 마찬가지로 이 조건이 성립될때 부패가 시작되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