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열감기가 있음에도 아이들 학교 등교 시키는건, 민폐 아닐까요?

아이가 아픈것도 알고, 전염성이 있는걸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 보내는 부모들은 직장 문제가 있어서 그런걸까요? 단체 생활에서 아이들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민원을 넣을수도 없고, 불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열감기가 있는 아이가 학교에 등교를 해서 그로 인해 감염이 될까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직장 문제와 돌봄 공백, 질병 경중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 출석에 대한 부담 등입니다.

    열감기나 바이러스성 질환은 전염성이 높고,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는 더 큰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천식, 알레르기, 기저질환이 있는 아이에게는 단순 감기도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교에 의견 전달하기, 학부모 커뮤니티에 공감대 형성하기, 아이에게 개인 위생 교육 강화하기 등이 현실적인 대처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열 감기에 심하게 걸렸다 라면

    학교에 등원을 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는 바이러스로 인해 전염성 될 수 있는 것이 잠복기를 통해 전염이 되어지는 부분이 크기 때문 입니다.

    열감기 걸린 아이를 등원을 시켰다 라면 다른 학부모님들은 행여 우리 아이가 감기에 전염이 되지 않을까 라는

    우려가 큰 것은 사실 입니다.

    특히나 맞벌이 부부의 아이가 열감기에 걸렸다면 아이를 맡길 곳이 없기 때문에 학교에 등원 시키는 부분이

    클 것입니다.

    열감기 걸린 아이를 등원 시켰다 라고 한다면 학교에 민원을 넣기 보담도 담임 선생님께 이러한 부분을 전달하고

    아이를 양호실로 보내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해 달라고 부탁을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말 그대로 열감기가 있고, 단순히 열감기가 있는 것뿐만 아니라 전염성이 있음에도 보낸다는 것은 다른 아이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행동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열감기 증상이 있는 아이를 등교시키는 것은 분명히 다른 아이들에게 전염위험을 줄수 있어 민폐가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모 입장에서는 돌봄 공배가 직장문제 등 현실적인 이유 떄문에 어쩔수 없이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접 민원 넣기보다는 담임이나 보건교사에게 상황을 공유하는 방식이 바람직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