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3.26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이라는 긴 터널을 지났는데 그 후 일본 경제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나요?

우리나라 경제도 잘 모르는데 일본하면 잃어버린 30년이라는 말이 자꾸

떠오릅니다. 왜 그러한 말이 생겨났고

잃어버린 30년을 겪은 후에는 일본 경제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 경제의 경우에는 잃어버린 30년이라는 경제 침체기를 지나가고 있지만 현재의 일본 경제의 부흥은 엔저로 인한 수출실적의 상승과 관광객 유입으로 인한 시장의 활성화가 배경이 되고 있다 보니 엔저가 끝나가게 되는 경우에는 다시금 침체를 겪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잃어버린 30년동안 디플레이션 현상을 보였으며

    더불어서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상당히 침체하였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위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30년'은 1980년대 일본 경제 최고 호황기 때 미국 주도의 플라자선언으로 인한 엔화 평가 절상으로 일시에 수출 경쟁력을 잃어버린 데서 시작되었다는 게 중론입니다.

    수출 경쟁력 회복의 난맥상을 국내 내수 경기 진작으로 당시 일본 당국은 결정했고 과도한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버블 경제가 형성되었습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부동산 시장이 붕괴하며 일본 경제는 고령화와 맞물려 내수 경제 침체, 엔고로 인한 수출 경쟁력 상실 등으로 기나긴 침체의 터널로 진입하게 됩니다.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2006년 취임하여 제로금리와 강력한 확대 재정 정책을 시행한 아베 총리가 주도하면 일본은 기나긴 침체의 터널을 벗어나게 됩니다. 아베의 주요 정책은 자국 우선주의, 엔저, 친미정책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불리는 일본의 경제 침체기는 1990년대 초부터 2010년대 초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일본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 디플레이션, 인구 고령화 등의 문제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었고 장기적인 침체 상태에 빠졌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일본은 구조조정과 경제 개혁을 통해 경제를 회복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디지턈화, 로봇공학, 인공지능 등의 첨단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해외 진출을 통해 수출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일본 경제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