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뽀로로
뽀로로23.04.04

아이에게 매운 김치를 꼭 먹여야하나요?

5살 유치원 다니는 아이인데 주변에서 매운 김치도 먹을 줄 알아야한다고 이야기를 많이 하시는데 꼭 김치를 먹여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나중에 크면 잘 먹지는 못해도 맵고 짠 음식들을 먹게 될텐데 이렇게 어릴 때부터 먹여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매운 김치를 억지로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성장하면서 매운 김치는 자연스럽게 먹을 수 있게 됩니다. 어른들 중에도 매운 맛을 못 먹는 어른이 있듯이 아이들도 매운맛이 통증으로 느껴져 먹기 어려운 아이가 있습니다.

    김치를 먹게 하고 싶으면 김치를 씻어 주던지 아이전용 김치를 따로 만들어서 먹여 보세요. 김치를 살짝 씻어 전이나 김치볶음밥 같은 음식으로 시작해 보는것도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4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릴 때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어렸을 때부터 야채를 먹지 않았다면 성인이 되어서도 쉽게 먹게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음식에서도 어린시절에 먹어보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김치는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면역 조절 기능이 있습니다.

    항암효과 및 노화억제 효과가 있습니다.

    김치 속 유산균은 장을 깨끗이 해주는 정장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혈중에 있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가능하면 맵더라도 고춧가루의 농도를 조절해가면 경험해보는 것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꼭 먹이지 않아도 무관합니다

    맵고 짠것을 굳이 어릴떄 부터 억지로 먹이는것은 아이에게 좋은 현상은

    아닐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특성상 김치를 꼭 먹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도 다른 음식은 편식해도 김치는 꼭 먹게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것처럼 어차피 나중에 크면 라면에 김치를 스스로 찾아서 먹을 정도로 자연스럽게 먹을텐데 굳이 지금부터 안먹고 싶은 걸 억지도 먹여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은 안먹지만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편식했던 음식도 먹기도 하고 할 거에요.

    유치원에서도 김치 안먹는다면 굳이 먹이지 말아달라고 선생님께 미리 이야기 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매운 것을 조금씩 먹으면서 연습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세요 강제적으로 먹일 필요는 없으니 아이의 의사를 존중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굳이 매운김치를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영양소를 위해 먹이는 것이 좋지만

    자극적인 음식을 어린나이에 먹인다고 좋은것은 아닙니ㅏㄷ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김치를 먹여야 하는 이유는 면역력 때문 입니다. 김치에는 면역력을 지켜주는 효소가 있기 때문에 아이에게 먹이면 좋다 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입니다. 맵고 자극적인 음식은 아이에게 좋지 않는 점은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는 맵지 않고 짜지 않게 양념을 해서 제공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커서도 사실 매운음식을 못먹는 사람도 많고, 굳이 먹지 않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음식에 매운양념이 안들어간 것이 찾기가 의외로 어렵습니다. 특히 외식의 경우 아이와 같이 먹으려면 먹을 수 있는 것이 상당히 제한 적입니다. 이때문에 미리부터 매운음식을 연습시키고 같이 먹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초등학교 가게 되면 학생 하나하나 맞춘 식단이 아니므로 가끔은 매운음식이 아닌 반찬이 하나만 있는경우도 있습니다. 이럴땐 아이가 먹을 음식이 정말 적은 경우가 생기니 조금씩 적응은 시켜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은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선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먹기어려워하면 꼭 먹이실필요는 없습니다

    아직어린아이의경우 매운음식소화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김치를 먹이기위해서는 백김치를 먹이거나 매운김치는 물에 헹궈서 먹이시는게 오히려 괜찮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김치가 한국 고유의 음식이다보니 어린 시절부터 김치를 먹이려고는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싫어하고 원치 않으면 굳이 시도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백김치부터 시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매운 김치는 건강에 좋은 미생물이 많아서 먹는 것이 좋지만, 꼭 먹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채소와 과일, 단백질 등 영양소가 다양하게 들어있는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매운 음식에 적응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화 장애나 소화불량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매운 음식을 처음 먹이는 경우에는 적게 주어서 점진적으로 적응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5살 아이에게는 간단한 김치볶음밥이나 김치찌개 등 김치를 활용한 요리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글의 내용대로, 맵고, 짠 음식을 구지 먹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좋아해서 먹는다면 모를까요.

    나중에 학교에 들어가게되면, 또래 친구들의 영향을 받아서 다 먹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많은 요리가 김치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아이가 편식을 하지 않기 위하여는 김치를 조금이나마 먹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김치를 많이 매워한다면 꼭 김치를 먹여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백김치를 먹을 수 있도록 하거나 나중에 아이가 매운 음식도 잘 먹을 수 있을 때 먹여도 될 것 같아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김치와 같은 경우 우리나라 문화권에서 필수적인 음식이기에

    조금은 먹을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유산균도 풍부한 등 영양적으로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