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퇴사하는데 이직확인서를 다음달말에 써주는게 맞나요?
10개월간 일한 곳에서 1/16일 퇴사하는데
2/25일 마지막 월급나온다고 그후에 이직확인서 써준다는데 이게 맞나요?
월급 상관없이 퇴사 10일 안에 안써주면 벌금 낸다고 알고 있는데
이 사실을 알리면 서로 감정이 안좋으지려나요?
계약종료로 써주는게 맞긴한데 현명하게 이직확인서를 빨리 받는 방법이 있을까요?
10개월간 일한 곳에서 1/16일 퇴사하는데
2/25일 마지막 월급나온다고 그후에 이직확인서 써준다는데 이게 맞나요?
월급 상관없이 퇴사 10일 안에 안써주면 벌금 낸다고 알고 있는데
이 사실을 알리면 서로 감정이 안좋으지려나요?
계약종료로 써주는게 맞긴한데 현명하게 이직확인서를 빨리 받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실업을 신고하기 위하여 이직하기 전 사업의 사업주에게 이직확인서의 발급을 요청하려는 사람은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를 작성하여 해당 사업주에게 제출해야 하며,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를 제출받은 사업주는 제출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발급해야 합니다(동법 시행규칙 제82조의2). 이를 위반하여 이직확인서를 발급하여 주지 않은 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이직확인서를 발급해주지 않은 때는 해당 사실을 거주기 관할 고용센터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조우선 노무사입니다.
이직확인서 발급을 요청 받은 사업주는 10일 이내에 발급해야되는 것이 맞습니다.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제82조의2 제2항)
급여 지급일을 이유로 사업주가 발급을 미루고 있다면
고용센터에 연락하시길 바랍니다. 고용센터에서 사업주에게 이직확인서 제출을 요청할 것입니다.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제82조의2 제4항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