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 뜻이 무엇인가요? 그리고 금리가 올라가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
bp뜻이 궁굼합니다. 금리를 25bp 75bp 올린다는 말을 들었는데 뭔말인지 잘 모르겠네요ㅎㅎ그리고 금리가 올라가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의 뜻은 베이시스포인트이 약자이며, 금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최근에 흔히 사용되는 금리관련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0.25bp상승 : 베이비스탭
2.0.5bp상승 : 빅스탭
3.0.75bp상승 : 자이언트스탭
4.1.0bp상승 : 울트라스탭
이러한 금리의 상승은 물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금리인상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금리 및 예금금리 상승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하여 개인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와 개인의 소비지출의 감소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하여 기업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해서 신규투자설비 감소(기계, 원자재, 인력채용에 대한 수요 감소)
소비지출의 감소 및 신규투자설비의 감소로 인하여 경기침체
경기침체로 인한 기업들의 재고물량 증가(최근 대기업들의 재고수준이 역대 최악이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있습니다.)
재고물량 증가로 인해서 판매가격 하락(재고를 털어내기 위해서 물건가격을 싸게 팔기 시작합니다.)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물건가격하락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하락
즉, 기준금리가 인상되게 되면 물가는 하락하게 되고 안정을 찾아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최근과 같은 빠르고 급격한 금리인상은 심각한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어 한국은행은 미국을 따라 너무 빠른 금리인상을 하지 않고 속도를 조절하면서 인상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는 이자율을 계산하는 최소단위로 basis point의 약자입니다.
1bp는 0.01%로 25bp, 50bp는 각각 0.25%, 0.5%로 기준금리를 25bp를 올린다고 하면 0.25%를 올린다는 뜻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개인과 기업들은 대출을 줄일 것이고 대출을 통한 기업들의 투자, 개인들의 구매가 줄어들게 되면 수요가 줄어들게 되어 물가가 내려가는 효과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란 Basic point의 약어로 이자율을 표기할 때의 최소단위로 사용하며 1%=100bp이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는 베이시스 포인트의 약자입니다. 금리나 수익률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기본단위로 100분의 1%를 뜻합니다. 1bp는 0.01%포인트인 셈입니다. 담보·채권·어음 등의 산출을 견적할 때 쓰이고 0.05%이면 5 basis points 또는 5 bps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금리인상은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은행도 높아진 이자부담으로 대출자들이 돈을 제대로 갚지 못할 것을 우려해 대출에 더 신중해지게 되고 그 결과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줄어들면서 경제활동은 둔화되고 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s란 basis point의 줄임말로 금리나 수익율 등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본단위이며 100분의 1%를 의미합니다.
금리가 올라간다면 주식시장 및 부동산 시장 등이 위축되고
물가가 안정되는 등의 효과가 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