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태어난 지 1주일 된 신생아의 배꼽이 아직 떨어지지 않았다면, 이것이 문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기가 태어난 지 7일이 되었는데 배꼽이 아직 떨어지지 않았다면, 탯줄을 잘 자르고 소독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생긴 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신생아의 배꼽이 떨어지는 시기는 보통 1주에서 2주사이에 떨어집니다. 아직 배꼽이 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문제가 되지는 않으며 배꼽에 염증이 생기기 않도록 소독을 잘 해주시고 좀더 기다려보셔도 좋을듯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태어난 지 7일이 지나도 배꼽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보통은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신생아의 배꼽이 떨어지는 시기는 보통 1주일에서 3주일 사이로 개인 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배꼽이 떨어지지 않은 채로도 소독을 잘 해주고 깨끗하게 관리하면 큰 문제는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배꼽 부위가 붉어지거나, 악취가 나거나, 고름이 나오는 경우에는 감염의 징후일 수 있으니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신생아 배꼽은 탯줄이 떨어진 자리가 바로 배꼽 입니다.

    탯줄은 태아가 뱃속에서 엄마로 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 받았던 엄마와 이어주던 하나의 줄 인데요.

    이렇게 태아의 생명과 연관되는 탯줄이 아이가 태어나면 그 역할을 끝내고 자연스럽게 탈락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대탈락이 아기의 배꼽이 되는 것입니다.

    신생아 배꼽이 즉 제대 탈락이 되는 시기는 생후 2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탈락 하게 됩니다.

    정말 늦게는 2달 가까이 되었을 때 떨어지기도 합니다.

    오랫동안 떨어지지 않으면 다른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후 한 달이 되어도 탯줄이 떨어지지 않으면 병원으로 내원하여 상담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태어난지 1주일 된 신생아의 배꼽이 아직 떨어지지 않는 것은 정상입니다. 보통 1-3주 내에 떨어지니 청결 유지와 소독에 신경쓰며 , 감염 징후가 있으면 의사와 상담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태어난지 1주일 된 신생아의 탯줄이 아직 떨어지지 않는 것은 정상입니다. 보통 1-3주 내에 떨어지며, 소독을 꾸준히 하고, 감염 징후가 없는지 관찰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태어난 지 1주일 된 아기의 배꼽이 아직 떨어지지 않았다면, 걱정할 필요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아기들은 배꼽이 출생 후 1주일에서 3주 사이에 자연스럽게 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배꼽이 떨어지는 시기는 아기마다 다를 수 있으며, 1주일이 지나도 떨어지지 않는 것은 정상적인 범위에 속합니다. 배꼽이 떨어지는 과정은 아기의 탯줄이 빠져나가면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며, 이때 탯줄의 끝부분은 건조해지고 떨어지게 됩니다. 소독을 제대로 해주고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걱정할 만한 문제는 없습니다. 타나면 감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꼽이 1주일 동안 떨어지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걱정할 일이 아닙니다. 배꼽은 대개 1주일에서 3주 사이에 떨어지며,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고, 소독과 건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배꼽 부위에서 이상한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가서 확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참조가 되었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채수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신생아의 탯줄이 떨어지는 데는 보통 1~3주 정도가 걸리므로, 1주일이 지나도 떨어지지 않았다고 하여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다만, 배꼽 주위에 붉은 색의 기운, 냄새, 분비물 등이 있다면 감염 신호일 수 있으니 병원 진료를 받아 의사 선생님과 상담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