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뽀로로
뽀로로23.02.24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바람개비가 바람이 불거나, 바람개비를 들고 달려 바람을 일으키면 빙그르르르 바람개비가 돌아가는데 바람개비가 어떻게 돌아가는건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또 한가지 더 바람개비와 풍차의 원리는 같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바람개비는 바람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돌아가는 장치입니다.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바람개비의 날개가 돌아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바람의 운동 에너지가 회전 운동으로 전환됩니다.

    바람개비와 풍차의 원리는 비슷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바람개비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바람개비의 날개를 회전시키는 반면, 풍차는 바람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회전합니다. 풍차의 날개는 앞쪽에서 바람을 받아서 압력이 높아지고, 뒤쪽에서는 바람이 빠져나가면서 압력이 낮아집니다. 이 압력차에 의해 날개가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회전 운동의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바람개비와 풍차는 모두 바람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얻는 장치이지만, 원리는 조금씩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풍차와 비슷한 원리입니다. 수직으로 입사되는 바람에 힘을 얻어서 돌리게 되는겁니다. 이는 블레이드의 형상에 따라서 효율이 많이 달라지게 되므로 어떤 각도와 형상으로 그리고 몇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개비는 바람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하는데, 풍차의 원리와 같습니다. 바람이 바람개비의 날개에 부딪치면, 날개의 앞면은 공기의 압력을 받고 뒷면은 공기의 진동을 받게 됩니다. 이로 인해 날개는 앞면과 뒷면 간의 압력 차이로 인해 회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람개비는 바람에 의해 돌아가는 기계입니다. 바람개비는 선풍기의 원리와 비슷합니다. 즉, 바람개비는 바람에 의해 생기는 기계적인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바람개비는 먼저 바람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람은 날개에 부딪히면서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날개는 이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바꿉니다. 이 회전 운동 에너지는 전기 발전기나 농기구 등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바람개비의 날개는 전통적으로 반원 모양으로 되어 있어 바람이 부딪히면 회전하기 쉽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또한, 날개의 크기와 각도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바람개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바람의 힘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날개의 각도와 크기를 최적화해야 합니다. 또한,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바람개비의 위치를 조절해야 합니다. 이렇게 바람개비는 바람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원리는 공기압의 차이를 이용한 것입니다.

    바람개비 날에 주어진 각도가 압력의 차이를 만들게 되고 그 공기압의 차이로 인해 바람개비 날이 회전하게 됩니다. 바람개비와 풍차는 동일한 공기역학의 원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개비는 바람이 불면서 발생하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장치입니다. 바람개비에는 풍차 날개와 중심축이 있습니다. 바람이 날개에 부딪치면 날개 위쪽은 낮은 압력, 아래쪽은 높은 압력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날개가 회전하면서 중심축을 돌려 바람에 대한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개비 원리를 찾아보니, 재미나네요. 단순히 바람에 의해 돌아가는게 아니라

    그 바람이 반복됨에 따라 점점 속도가 강화된다고 하네요. (그네를 미는 것처럼)

    풍차 역시 바람의 힘으로 회전력을 얻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주기적인 떨림(진동)은 바람개비 중심구멍을 통해 바람개비의 날개를 서서히 회전시킨다. 바람개비 날개의 회전 주기와 같은 진동이 생기도록 계속 밀어주면 바람개비는 더욱 빠르게 회전한다. 이것은 그네를 태우기 위해 밀어주는 것과 같은 원리다. 마찬가지로 나무젓가락 바람개비도 날개의 회전주기와 톱니가 만드는 진동 주기를 맞추어야 공명이 일어나고, 강제적으로 진동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 주기를 맞추지 못하면 바람개비는 돌지 않는다.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진동칫솔이 이 원리를 적용한 대표적인 기구로, 진동칫솔 모터의 빠른 진동운동을 통해 각 모(毛)는 엇갈린다.

    출처 : 어린이 경제신문(https://www.econoi.com)


  • 바람개비의 모양을 자세히 살펴보면 비스듬한 면이 있어서 유체가 흘러갈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비스듬한면에 유체가 흘러서 바람개비에 회전력이 걸리게 되고 바람개비가 돌게됩니다.


    풍차또한 바람개비와 유사한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개비는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바람에 의한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는 힘과 코르리올리 힘에 의해 설명됩니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하는 기압차에 의해 발생합니다. 바람개비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비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서 압력차가 발생하고 그 압력차가 바람개비의 날개를 밀어내어 회전시키기 때문입니다.

    반면, 풍차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서 수평으로 위치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풍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 등의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풍차는 바람의 힘을 이용해 회전하는데, 이때 회전하는 날개의 모양과 방향, 그리고 기어 등의 장치를 통해 회전운동을 전기에너지 등으로 변환하게 됩니다.

    따라서 바람개비와 풍차는 원리는 서로 다르지만, 모두 바람의 힘을 이용해 운동 에너지를 얻어 회전운동을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선요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개비는 공기 저항의 원리와 뉴턴이 운동 제3법칙에 따라 작동합니다. 바람개비의 각진 날에 바람이 불면 바람개비가 회전하도록 날을 밀어주는 힘이 생성됩니다. 바람개비 한쪽의 각진 날개는 다른 쪽보다 더 많은 바람을 받아 불균형을 일으켜 바람개비를 회전시킵니다.

    바람개비도 바람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풍차의 원리는 비슷합니다. 회전 운동을 생성하니까...

    그러나, 풍차는 일반적으로 훨씬 더 크고 더 많은 풍력 에너지를 포착하기 위해 여러 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합니다. 그런 다음 회전 운동은 발전기 또는 기타 기계에 동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됩니다.